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내주 초 현역 의원을 대상으로 한 정밀심사를 마무리하고 현역에 대한 2차 물갈이 공천을 단행한다.
지난 24일 현역 의원 평가에서 하위 20%에 속한 10명을 공천에서 배제한 데 이어 이제는 남은 의원을 대상으로 2차 평가작업에 착수하는 등 인적 쇄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위 20% 컷오프가 문재인 전 대표 시절 만들어진 공천룰에 따른 '문재인표' 공천의 결과물이었다면, 2차 컷오프는 새로운 지도부 출범 후 이뤄지는 '김종인표' 물갈이의 신호탄이라고 볼 수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25일 "공천 일정이 빠듯해 현역 의원의 공천 추가 배제를 위한 2차 심사를 늦출 수 없다"며 "내주 초면 심사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2차 심사는 경쟁력 평가와 윤리심사로 진행된다. 경쟁력 평가는 지역구 신청 후보에 대한 여론조사와 지역 실사를 토대로 3선 이상 중진 50%, 초재선 30%를 정밀심사 대상으로 분류해 공관위원 찬반투표로 원천배제자를 걸러내는 방식이다.
현재까지 살아남은 현역 의원 가운데 3선 이상 중진 24명 중 12명, 초재선 71명 중 21명 등 모두 33명이 정밀심사 대상에 오른다. 윤리심사는 당 윤리심판원에 제소됐거나 징계를 받은 의원, 전과자,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의원 등이 대상이다. 부정부패 혐의로 유죄를 받았거나 막말 등 부적절한 언행으로 물의를 빚은 의원들이 대거 심사대에 오르는 것이다.
공관위 관계자는 "현역 의원 여론조사 결과가 취합되면 본격적인 정밀심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추가 배제자가 얼마나 나올지 예상하기 힘들다"고 말했지만, 당내에서는 공천이 마무리되면 현역 교체율이 40~5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현역 의원들은 공관위 활동이 숨 쉴 틈 없이 돌아가자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정밀심사 대상에 절반이나 포함되는 중진 의원들의 물갈이 공포감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당내 비주류의 비판대상이던 86(1980년대 학번'60년대생)과 친노(친노무현) 성향 의원들이 타깃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김종인 대표가 계파 패권주의나 운동권 방식의 의정활동에 강한 반감을 갖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