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4년 3월 11일 정비석은 서울신문에 '탈선적 시비를 박함'이라는 제목으로, 황산덕 서울대 법대 교수의 '소설 자유부인'에 대한 비난을 반박했다. 이에 앞서 황 교수는 대학신문에 "대학교수를 양공주에 굴복시키고…. 국가와 민족을 위해 용납될 수 없는 죄악이며 중공군 50만 명에 해당하는 국가의 적"이라고 서울신문 연재소설 자유부인(1954년 1월 1일~8월 6일'215회)을 성토했다. 황 교수가 다시 며칠 뒤 서울신문에 더욱 강력한 비판의 글을 싣자, 이번에는 변호사 홍순엽과 문학평론가 백철까지 논쟁에 뛰어들었다.
소설 자유부인은 6월 24일 자에 "공무원을 비하하는 내용이 있어 죄송하다"는 작가의 석명서가 광고란에 실리면서 또 한 번 화제가 됐다. 그만큼 소설 속에서 현직 교수와 그의 부인이 벌이는 일탈의 감정과 애정 행각은 전통적인 부부상에 충격을 던졌다. 논란 덕분일까, 자유부인은 10만 부가 팔려 최초의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