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성과 높은 맞춤형 인력양성, 사후 관리도 중요하다

대구시가 기업의 눈높이에 맞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맞춤형 인력양성사업'을 올해부터 크게 확대한다. 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 및 대학'전문대 졸업자,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강도 높은 직무 훈련을 통해 산업 현장에 필요한 인력으로 키워내는 사업이다. 시는 올해 16억원의 자체 사업비로 모두 750명의 기능인력을 키워 지역 기업의 구인난 해소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시가 '맞춤형 인력양성'을 역점 정책의 하나로 꼽고 예년과 비교해 그 비중을 한층 확대한 것은 최근 3년간 이 프로그램을 통해 거둔 성과가 크기 때문이다. 2013년의 경우 469명이 교육을 받아 410명(87.4%)이 취업에 성공했고, 2014년 280명(84.3%), 지난해에는 350명(85.8%)이 현장 전문 인력으로 자리 잡았다. 매년 85%의 높은 취업률을 보인 것은 그만큼 이 사업의 실효성이 높다는 말이다.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바늘구멍 같은 청년 구직난 못지않게 지역 기업의 구인난 또한 심각하다. 숙련 근로자 기근 현상은 지역 기업의 공통된 애로점이다. 특히 기계금속과 자동차부품, 금형설계 등 뿌리산업의 기술 인력은 물론 소프트웨어'광고기획 등 서비스 분야도 전문 인력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업은 기업대로 직원 직무교육에 필요한 재원'시간 등 부담이 크고, 직원 또한 현장 적응에 애를 먹는다.

그런 점에서 기술을 현장에서 바로 활용하는 직무훈련 등 사전 교육과정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대구시가 선제적으로 예산을 투입하고 각 기술조합과 대학, 경영자협회 등 유관기관이 체계적인 인력양성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가는 것은 일자리 창출은 물론 기업 경쟁력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일이다.

여기에 보태 강조할 것은 전문 기능 인력이 지역에서 오래 일하고 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지속 가능한 근로 여건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처우 등 근로 조건이 타지역에 비해 낮다면 인재 이탈 등 문제점이 커질 수밖에 없다. 각 지역 기업과 지자체가 면밀히 살피고 적극 개선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