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유망 기술, 이제는 투자받는다.'
공공기관이 보유한 특허'신기술을 이전받아 창업하는 '연구소기업'이 대구에서만 50곳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기업은 정부출연기관, 대학 등이 기업에 연구성과(특허 및 기술)를 출자하고, 기업은 전문 경영을 맡아 사업화하여 성공률을 높이는 모델이다. 대구를 비롯해 대덕'광주'부산 등 전국 4개 특구 내에 들어서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전국의 연구소기업은 현재 205호까지 탄생했다. 이 가운데 대구특구는 2011년 첫 연구소기업이 탄생한 이래 2014년 15곳, 지난해 12곳, 올 들어 17곳 등 대덕특구 다음으로 가장 많은 51곳을 기록했다.
이달 6일 광주에서 열린 미래부의 연구소기업 200호 설립 기념행사에는 ㈜전진엠앤에프(202호), ㈜케이유케미칼(203호) 등 대구 기업 2곳이 이름을 올렸다.
대구 성서공단의 전진엠앤에프는 유탕처리 한 스낵이나 한과 등 과자 만드는 기계(자동화 라인)를 만들어 전국의 제과업체에 납품하는 업체다. 전진엠앤에프는 지난해 5월 한국식품연구원이 개발한 식품원료 분쇄기술을 이전받아 창업했다. 이 기술을 적용한 분쇄기는 곡물, 잎, 뿌리, 건조과일까지 분쇄할 수 있어 다양한 재료의 과자를 만들 수 있다. 참외, 감귤, 오미자 등 지역특화 상품을 재료로 쓴 한과가 대표적이다. 또 진공 분쇄 기능을 적용해 이물질이 들어갈 여지가 거의 없고, 분쇄 과정에서 생기는 열을 줄임으로써 재료의 열화도 방지한다. 이 기술은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3억4천800만원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진엠앤에프는 이 기술로 거둔 매출의 2%를 한국식품연구원에 내는 조건으로 5년간 계약을 지속한다. 전진엠앤에프 정기조(36) 대표는 "부친이 40여 년간 과자 기계 제조에 종사해 오셨다. 이번 신기술은 재래식 과자 제조공정을 혁신적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말했다.
케이유케미칼은 올해 3월 대구가톨릭대학교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연구소기업이다. 고려대기술지주가 개발한 코팅제(화학약품) 신소재 기술을 이전받았다. 고려대기술지주가 기술 이전 명목으로 20% 지분에 참여하는 형식이다. 이 기술은 '그래핀'이라는 코팅 소재를 자동차 엔진부품 등의 금속 표면에 처리해 윤활 성능을 높이거나, 안경테 등에 잘 벗겨지지 않는 도금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 케이유케미칼 강경신 대표는 "지난해부터 고려대기술지주와 창업 준비를 했다.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한상문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장은 "연구소기업은 공공기관이 일회성 기술이전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기업 경영에 관심을 갖게 되므로 사업 성공률이 높다. 올해 대구특구에서는 추가로 20여 개 연구소기업을 탄생시킨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조국혁신당 '창립멤버' 은우근 탈당…"성 비위 피해자에 공격 멈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