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청 도청 자리 이전說 간보기? 해프닝?

'2018년 이사' 언론 보도…市, 소문 경위 찾느라 발칵

대구시가 느닷없는 시청사 이전설로 14일 한바탕 해프닝을 빚었다.

대구 시청사를 경북도청 이전터(산격동)로 2018년 옮긴다는 이전설이 한 언론에 보도되면서 외부 확인 전화와 함께 보도 경위와 진원지를 찾느라 소란스러웠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도청 이전터로 이전하는 것과 관련해서 현재 계획은 물론 공식적으로 한마디 논의된 적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시는 "시청사 건립'이전은 천도(遷都)의 개념으로 신중을 기해 접근해야 할 문제다. 시청 신청사 건립 기금 조성만 하고 있을 뿐 이전과 관련된 어떤 계획도 세운 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에 따르면 신청사 건립을 위해 2013년 50억원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매년 200억원씩 총 650억원의 청사 건립 기금을 모은 상태다. 올해 200억원을 추가한다고 해도 850억원 정도로 기금 목표액 1천250억원은 물론 실제 청사 건립에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2천억~3천억원에 한참 모자라는 상태다. 시 본청을 어디로 옮기든 몇 년 내로는 신청사를 건립할 재원이 없다는 설명이다.

또 도청이전특별법 개정안 통과 후속 조치로 연계 법안인 '국유재산특례제한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고 문화체육관광부가 도청 이전터 활용을 위해 현재 '충남도청 및 경북도청 활용 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도청 이전터 이전 논의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관련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정부의 승인 절차 등을 거쳐 도청 이전터 사용권을 획득한 이후에야 산격동 도청 이전터가 시 청사 이전 후보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다 시 본청 이전 결정은 시의회나 시민 공감대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대구시의 기본 방침이다. 대도시 시청사가 대부분 도심 중심지(중구)에 위치해 있어 상징성을 고려할 때 타 지역 이전이 쉽지 않은 데다 특정 지역으로의 이전은 다른 지역의 반발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시청 이전은 시민 의견 수렴 과정과 시의회와의 협의 및 공감대 형성을 통한 공론화, 정부와의 상의 등을 거쳐야 비로소 추진할 수 있는 일"이라며 "아직 정부가 매입해 대구시에 사용권을 준 것도 아니고, 시청 내부에서도 논의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도청 이전터 활용 방안을 얘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