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朴대통령, 對국회 협치 선언…3당대표 회동 정례화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4.13 총선 이후 국회 권력이 여소야대로 재편된 데 대해 협치 정치를 선언하면서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여야 3당 지도부에 이르면 내달 초 회동할 것을 제안했다.

또 국회와 지속적인 소통을 위해 3당 지도부와의 회동을 정례화 하겠다는 뜻도 피력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45개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란 방문을 마치고 돌아와서 빠른 시일 내에 3당 대표를 만나도록 하겠다"면서 "3당 대표를 만나는 것을 정례화하는 문제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여당인 새누리당의 4·13 총선 참패 이후 정치권 안팎에서 국정쇄신과 소통 강화 요구가 나오는 가운데 국회와의 협치에 본격 나서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남은 임기동안 선거 민의를 잘 반영해 변화와 개혁을 이끌면서 각계각층과의 협력, 소통을 잘 이루어나갈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민생을 살리는데 집중하고 국회와 계속 협력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대야 협력방안을 놓고 "사안에 따라 여야정 협의체를 만들어 집중 연구하고 (여야가) 정부와 소통해 가면서 일을 풀어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정치권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는 인적쇄신론과 야권과의 대연정, 개헌 논의 공론화 등 다양한 국정쇄신 방안에 대해선 현 국면에서 수용하기 어렵다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박 대통령은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내각을 바꾸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면서 "안보가 시시각각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지금 (내각을) 변화하고 그렇게 할 여유가 없다"고 밝혔다.

야권 인사의 총리 기용 등 대연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총선을 통해 국민이 만들어준 틀안에서 서로 협조하고 노력해 국정을 이끌어가고 마감을 해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서로 정책, 생각, 가치관이 굉장히 다른데 막 섞이게 되면 이것도 저것도 안 되고, 책임질 사람도 없게 되니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박 대통령은 개헌론에 대해서도 "지금 이 상태에서 개헌을 하게 되면 경제는 어떻게 살리느냐. 지난번 선거 때도 (정치권에서) 개헌을 주도하겠다는 '개'자도 안나왔다"며 "경제가 살아났을 때 공감대를 모아 (개헌을 논의)하는게 좋지 않겠느냐는 생각"이라고 반대했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국회와의 협치를 내세우면서도 대대적인 국정쇄신책에는 거부감을 보임에 따라 향후 국정운영의 각론을 놓고 논란과 갈등을 야기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박 대통령은 선거패배 책임론과 관련, "대통령이라는 자리가 국민과 국가에 대해 무한한 책임을 지는 자리"라고 밝혔으나 "우리나라 체제가 대통령 중심제라고는 하지만 대통령으로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었다"고 '대통령 역할한계론'을 토로했다.

나아가 "여소야대보다 사실 더 힘든 것은 여당과 정부가 수레의 두 바퀴로서 계속 서로 협의해 가면서 같이 굴러가야 국정운영이 원활해 지는데, 내부에서 그게 안맞아 삐걱거리는 것"이라면서 "이 바퀴는 이리 가는데 저 바퀴는 저리 가려고 하면 아무 것도 안 되는 것"이라고 그동안 당청간 갈등이 적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박 대통령은 총선 민의에 대해선 "양당 체제에서 3당 체제를 민의가 만들어준 것이라고 본다"면서 "양당체제에서 서로 밀고 당기면서 되는 것도 없고, 국민 입장에선 변화와 개혁이 있어야 되겠다는 생각을 하신 것 같다"고 진단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