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지원 못 받고 학생만 울린 안동대

의견 수렴 없이 학과 통·폐합 강행…프라임 사업 국공립대 중 유일 탈락

국립 안동대학교가 학생들의 의견 수렴 없이 학과를 통'폐합해 중앙정부 재정지원을 따내려다 실패하자 학생들로부터 뭇매를 맞고 있다.

안동대는 국공립대 가운데 유일하게 프라임(산업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 대형 부문을 신청했다가 최근 탈락했다. 프라임 사업은 산업 수요에 맞게 대학 학사 조직과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에 교육부가 50억~300억원을 지원해주는 것이다. 이 사업은 대학이 기업이 원하는 인재 배출을 위해 기존의 인문'사회'예체능 계열의 정원을 줄이고, 이공계 정원을 늘리는 구조조정이 주가 되는 사업이다.

이 때문에 공교육기관의 역할을 하는 국공립대는 지원을 꺼리고 있다. 사업을 주관하는 교육부도 그 사정을 알기 때문에 국'공립대의 프라임 사업 신청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프라임 사업의 취지가 '정원조정'이고 국립대 본연의 역할이 있는 만큼, 다른 사업인 인문학 진흥 종합방안과 대학특성화사업의 신규 유형인 인문학 유형과 국제화 유형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안동대의 행보는 달랐다.

대학 내 생활과학대학과 예술'체육대학을 폐지하고 인문대학과 사범대학을 통합하는 등 대대적인 학과 통폐합 안을 추진한 것이다. 재학생'졸업생은 크게 반발했지만 '공개 학생 설명회'까지 열며 대학 측은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결국 최근 안동대의 프라임 사업 탈락이 확정된 뒤 학생들의 반발이 잇따라 터져 나오는 중이다.

일부 학생들은 안동대가 "프라임 사업을 추진하면서 절차상 꼭 지켜야 하는 설명회를 단순 요식행위로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재학생 A씨는 "학생회를 통해서나 학과 사무실을 통해 설명회의 내용과 날짜, 시간 등을 알려줘야 관심 있는 학생들이 참여하는데 이런 공지가 전혀 없었다"고 발끈했다.

이에 대해 정태주 안동대 기획처장은 "(학생들의) 내부 동의는 평가항목에서 3점(100점 만점)밖에 영향을 주지 않고 설명회의 참여 인원에 대해서도 공개해야 할 의무가 없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