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교육청이 학생 수업 참여를 확대하고, 교사와 소통하는 교실을 만들고자 진행하는 '협력학습'이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최근 시교육청은 협력학습 시행 2년차를 맞아 성과 점검, 정책 개선 및 지원 방향을 마련하고자 그동안의 성과 분석을 마쳤다.
협력학습은 교육활동 중 학생 소외를 방지하며, 참여와 소통이 살아 있는 교실 문화를 형성하고자 대구시교육청이 2014학년도부터 모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교과 수업 시간에 짝 활동, 토의'토론, 주제 중심 프로젝트 학습, 하브루타 등의 수업 기법을 활용해 학생의 참여로 진행되는 수업을 만드는 게 목표다.
이번 성과 분석은 협력학습 운영의 적절성, 효과성, 효율성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학교 규모별, 직위별 교사를 비롯해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또 운영 실태 및 인식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자 협력학습 교사 연구 동아리, 2015년도 수업 우수교사, 교장'교감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함께했다.
조사 결과 협력학습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의 적절성에 대한 문항에서는 89.8%의 교사가 긍정적 응답을 보였다. 또 관리자의 지원 역량에 대한 긍정적 응답률은 교장이 86.8%, 교감이 88.2%로 나타나 협력학습의 활성화와 정착을 위한 관리자들의 노력을 교원들이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협력학습이 인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교사가 92.1%, 학생이 87.7%, 학부모가 85.6%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교사만큼 높은 효과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협력학습을 꾸준히 실천할 필요가 있고, 학부모에게는 협력학습과 공교육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 홍보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 심층면담에서는 ▷협력학습이 교사들에게 또 하나의 업무처럼 느껴지지 않도록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줘야 한다 ▷저학년, 기초학습이 필요한 학생을 아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선행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협력학습은 학습에서 단 한 명의 소외자도, 구경꾼도 없이 모두가 참여하는 학습'이란 목표로 대구행복교육의 주요 역할을 하고 있다"며 "교사와 학생이 함께 이끌어 가는 수업 중심의 학교 문화를 형성해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심우정 "형사사법시스템, 국가 백년대계로 설계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