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역에서 발생한 여성혐오 범죄의 피해자에 대한 자발적인 추모 물결이 온·오프라인에서 일고 있다.
트위터에서는 추모 계정이 만들어졌고, 강남역 10번 출구에는 국화꽃과 추모 메시지로 가득 찼다.
일부 언론에서 '묻지마 범죄'로 사건을 단순화하고 있는데 대한 분노의 목소리도 높았다.
앞서 지난 17일 오전 1시 7분쯤 피해자 직장인 A(23) 씨는 강남역 주변 1층 주점에서 남자친구를 포함한 일행과 함께 술을 마시던 중 화장실에 다녀오다 다른 칸에 숨어 있던 김모(34) 씨가 휘두른 흉기에 수차례 찔려 사망했다.
가해자 김 씨는 사건이 발생한 건물 주점 종업원으로, 피해 여성과는 일면식도 없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구나 살인 사건 피의자가 경찰 조사에서 범행 동기로 "여자들에게 항상 무시당했다"고 밝힌 사실이 알려지자, 온라인에서는 '여성 혐오가 묻지마 살인까지 불렀다'며 사회적으로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비판이 터져나오고 있다.
18일 오전 8시쯤 트위터 계정 '강남역 살인사건 공론화(0517am1)'에는 "강남역 10번 출구 국화꽃 한 송이와 쪽지 한 장. 이젠 여성폭력, 살해에 사회가 답해야 할 차례입니다"라는 글이 올라왔다. 강남역 10번 출구는 사건 현장 인근이다.
이 계정 운영자는 "강남역 유흥가에서 23세 여성이 여성혐오 묻지마 살인으로 살해당했다"며 "사건이 묻히지 않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라고 썼다.
이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 등을 통해 확산되면서 그 뜻에 공감하는 시민들이 강남역 10번 출구 벽면에 추모 메시지를 적은 쪽지를 한 두장씩 붙이거나 흰 국화꽃을 바닥에 놓기 시작했다.
오후를 넘기면서 쪽지는 벽면을 채웠고 국화꽃은 훌쩍 늘었고, 누군가는 편하게 메시지를 적어 붙일 수 있는 접착식 메모지를 놓아두기도 했다.
쪽지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추모 글에서부터, '여성 혐오는 사회적 문제다',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죽지 않을 세상을 만들게요' 등 시민들의 자각을 바라는 내용들도 담겨있었다.
또 트위터 등 온라인에서는 이번 사건을 '묻지마 범죄'가 아닌 '여성혐오 범죄'로 봐야한다는 누리꾼들의 목소리도 높았다.
여성으로 대상이 분명히 국한됐던 범죄이기 때문에 '묻지마'라는 모호한 단어를 쓰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한 누리꾼은 "언론이 명백한 여성혐오 범죄를 '묻지마 살인'으로 표현해 그 본질을 흐리고 있다"고 꼬집었고, 또 다른 누리꾼 역시 "약자인 여성을 고의로 노린 애초에 대상이 분명했던 살인 사건으로, 이건 표적 범죄다"고 지적했다.
한편, 범인 김모(34)씨는 경찰조사에서 한 교회에서 운영하는 교리 교육 코스를 다니는 등 교회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여성들에게 자주 무시를 당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김씨가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고 2008년에 1개월, 2011년과 2013년, 2015년에 각 6개월 동안 입원치료를 받은 전력을 확인했다.
특히 김씨는 마지막으로 입원을 했다가 올해 1월 초 퇴원했으며, 퇴원할 때 주치의가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김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며 구속전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은 19일 오후 3시쯤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릴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