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네덜란드 등 8개국 14개 시민단체가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했다.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녹음한 테이프와 문서, 사진 등 11개국에서 2천744점의 자료를 모아 '일본군 위안부의 목소리'라는 이름으로 등재를 요구했다. 지난해 위안부 피해국을 중심으로 한 시민단체들이 모여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 등재를 위한 국제연대 위원회'를 만든 후 의미 있는 첫 결실이다.
지난해 중국 정부가 일제 만행의 역사를 국제 사회에 알리고 보존하는 차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자료와 난징대학살 기록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했지만 난징대학살만 등재되고 위안부 자료는 좌절된 바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등재 지원사업을 추진하다 지난해 말 한일위안부 합의 이후 지원 계획을 백지화해 아쉬움을 남겼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막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분담금을 무기로 유네스코에 압력을 행사했다. 지난해 난징대학살 자료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후 유네스코에 등재 제도를 개선해 달라고 끈질기게 요구하고 있다. 일본은 2014년 기준 약 37억엔(약 400억원)으로 미국 다음으로 많은 분담금을 낸다. 실제로 유네스코는 일본의 압력에 굴복해 등재제도의 개선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아베 정권이 아무리 '위안부 문제가 불가역적으로 최종적으로 합의됐다'고 주장하더라도 그것으로 일제 만행의 역사가 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일제 만행의 기록은 지구촌 기록으로 남겨 반성과 화해의 상징으로 만들어갈 일이다. 그럼에도 일본이 강제노역의 상징인 하시마섬(일명 군함도)을 근대화의 상징으로 꾸며 세계기록유산으로 남기면서 일제 만행의 또 다른 상징인 위안부의 역사를 감추려 드는 것은 역사 앞에 몰염치한 일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그야말로 역사에 대한 공정한 기록이어야 하지 특정국가가 분담금을 미끼로 정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없다. 위안부 자료는 반드시 세계기록유산으로 남겨 길이 보존하고, 후대의 경고가 돼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민주 "전날 협상한 국힘과의 '3대 특검안' 최종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