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부가 1경2천395조로 국내총생산(GDP)의 7.9배로 집계됐다. 또 지난해의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평균 순자산은 가구당 3억6천만원으로 74%가 부동산에 묶여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15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작성 결과'에 따르면 국가 전체의 부(富)를 가리키는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 현재 1경2천359조5천억원으로 추계됐다. 2014년(1경1천692조4천억원)보다 5.7%(667조2천억원) 늘어난 규모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1년 동안 가계, 기업, 정부 등의 경제 주체가 생산한 부가가치인 명목 GDP(1천558조6천억원)의 7.9배 수준으로 2011~13년 7.7배 수준이던 것과 비교해 소폭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GDP 대비 국민순자산 비율이 상승한 것은 2014년 이후 국민순자산에서 대외투자의 영향력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대외투자에서 외국인의 국내투자를 뺀 순국제투자는 2013년 372억 달러 적자에서 2014년 876억 달러 흑자로 바뀌었고, 작년에는 1천95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순자산은 가운데 부동산, 건물, 설비 지식재산생산물 등 비금융자산(실물자산)은 1경2천126조5천억원으로 98.1%를 차지했다.
이 중 토지자산이 6천574조7천억원으로 국민순자산의 53.2%로 파악으며, 여기에 건설자산(4천166조4천억원)까지 더하면 부동산 관련 자산은 1경784조1천억원으로 국민순자산의 87.3%에 달한다.
금융자산(1경3천496조1천억원)에서 금융부채(1경3천263조1천억원)을 뺀 순금융자산은 233조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국민순자산을 유형별로 보면 토지자산의 증가세가 뚜렷하다.
토지자산은 6천574조7천억원으로 2014년(6천209조8천억원)보다 5.9%(364조9천억원) 늘었다.
한국은행은 "토지자산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증가세가 축소됐지만 혁신도시, 세종시, 제주도 개발 등으로 2014년부터 증가세가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2014년 토지자산 증가율은 제주가 21.5%로 가장 높았고 대구(13.1%), 세종(12.5%), 울산(12.4%)도 10%대 증가율을 나타냈다.
작년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가구당(2.55명 기준) 순자산은 3억6천152만원으로 추정됐다.
이를 국가별 구매력을 반영한 구매력평가환율 기준으로 환산하면 가구당 순자산은 40만5천달러다.
이는 미국(2014년 기준 61만6천 달러)의 6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프랑스 48만6천 달러, 일본 46만6천 달러, 유로지역 43만8천 달러와 비교해도 적은 금액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7천176조2천억원) 중 토지, 입목, 건물 등 부동산 자산은 5천305조1천억원으로 73.9%나 되는 것으로 집계돼 앞으로 부동산 가격의 하락 가능성 등의 잠재적 위험을 고려하면 가계가 금융자산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가계의 대표적 자산인 주택의 시가총액은 작년 말 3천519조5천억원으로 GDP의 2.26배 규모로, 미국(1.4배), 일본(1.8배), 캐나다(2.0배)보다 높지만 이탈리아(3.7배), 호주(3.5배), 프랑스(3.1배)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