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곤란증후군이란 질병은 무엇일까?
호흡곤란증후군이란 심장 기능 이상 외의 원인으로 갑자기 심한 호흡 곤란증상이 생기는 것이다. 조산 등으로 폐 성숙이 모자라거나 질식 등으로 상태가 나쁠 때 생기는 신생아 호흡 곤란증과 비슷하다.
호흡곤란은 체내 산소가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폐 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병이다.
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심한 외상 등 많은 조직 손상, 여러 가지 원인의 쇼크, 심부전증, 위 내용물의 기도 흡입, 패혈증, 수혈 부작용, 폐혈전증, 양수 색전증, 소모성 혈액 응고 장애, 급성 췌장염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숨이 가쁘거나, 호흡할 때 힘이 들고, 가슴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
또 맥박이 빨리 뛰고 피부가 차가워지며 축축한 느낌이 들 수 있다. 또 숨을 쉴 때 거친 소리가 나고 심할 때는 귓불이나 입술, 손톱 등이 푸르게 변하는 청색증도 나타난다.
호흡곤란증후군의 치료는 산소공급, 보온, 수액, 인공호흡등에 따르는데 진통억제제를 사용해서 분만을 지연시켜 모체에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이 예방법으로서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 대처방법은 수시로 의식적으로 심호흡을 하는 것이다.
힘든 일은 가급적 피해야 하며 호흡곤란 발생 시 반드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가장 편안하게 호흡을 취할 수 있는 자세를 유지하고, 담배를 삼가하고 금연하도록 해야한다.
한편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공개한 '폐 기능 강화식품' 4가지 브로콜리, 고등어 토마토, 무 등을 섭취함으로서 '호흡곤란증후군'을 미리 예방하고 스스로 건강을 지키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