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맞선 나온 탈북녀 "5만원에 알바 중"

중매업체 꼼수영업에 남성회원 피해

"맞선 나가면 일당 5만원씩 받아요."

일부 탈북여성 결혼정보업체가 탈북여성을 아르바이트로 고용해 맞선 자리에 내보내는 '꼼수 영업'을 해 피해자가 잇따르고 있다.

해외 결혼 알선이 점차 힘들어지고 상대적으로 탈북여성들에 대한 인기가 높은 것을 악용해 '탈북여성 전문 결혼업체'란 간판을 내걸고 남성 회원을 모은 뒤 맞선 자리에는 알바 여성을 내보내는 방식이다.

30대 탈북여성 A씨는 "지인 소개로 결혼업체에 고용돼 일을 했으며 맞선 자리에 나가면 5만원 정도를 받았고 하루에 3, 4명을 한꺼번에 상대한 적도 있다"며 "탈북여성 사이에서 인기 알바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탈북여성의 나이 등 신상을 속이는 사례도 있다.

탈북여성 B씨는 "탈북자는 무의식적으로 개인정보를 공개하는 것 자체를 무서워한다. 혼인관계증명서를 내지 않아도 급하면 그냥 선 자리에 나서기도 한다"며 "50대 후반 남성이 30대 후반 탈북여성을 요청한 적이 있는데 나이를 속이고 나간 적이 있다"고 했다.

탈북여성 전문 결혼정보업체는 국제결혼의 부작용이 속출하면서 2년여 전부터 생기기 시작해 현재 대구경북 10여 곳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50여 곳이 영업하고 있다.

이러한 '꼼수 영업'은 결국 남성 회원들의 피해로 돌아간다.

한 업체에 가입했다가 탈퇴한 이모 씨는 "처음 소개받을 때 프로필과 실제가 다른 경우가 있었고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사진만 봐도 프로필 직업과 전혀 다른 일을 하는 사람으로 여겨졌다. 명백한 사기라 생각하니 참을 수 없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하지만 여성가족부나 지방자치단체들은 탈북여성 결혼정보업체를 단순히 국내결혼정보업으로 분류해 제대로 된 실태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각 지자체의 여성정책담당관실을 통해 구청별로 정기 점검 지침을 내보내지만 결혼정보업체의 보증보험, 회원관리카드 등 서류만 점검할 뿐 실제 여성들의 혼인관계증명서나 등본 등 구체적인 인적사항을 모니터링하지 않고 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탈북여성을 내국인으로 보고 이들 업체에 대해 별도 관리를 하지 않았다"며 "제보가 있으면 특별점검을 시행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