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한미훈련 종료일에 무수단 미사일 발사…"공중폭발로 실패"

북한이 15일 무수단 중거리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나 실패했다.

무수단 중거리미사일은 발사 직후 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참모본부는 16일 "북한이 15일 오후 12시 33분쯤 평안북도 구성시 방현 비행장 인근에서 무수단 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1발을 발사했지만 발사 직후 폭발했다"고 밝혔다.

미국 전략사령부도 15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북한이 15일 평안북도 구성시 부근에서 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했으나 실패했다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달 5일 노동미사일 3발을 발사한 이후 40일 만이다. 무수단 미사일 발사는 지난 6월 22일 이후 115일 만으로, 당시 북한은 무수단 미사일을 고각 발사해 최대 높이 1천413.6㎞와 사거리 400㎞를 기록, 시험발사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북한은 이번까지 포함해 무수단 미사일을 총 7번 발사했지만 한 번만 성공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무수단 미사일은 사거리 3천500㎞로, 괌의 미군기지까지 사정권에 들어간다. 무수단 미사일 발사가 또 실패하면서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능력 입증을 위해 조만간 다시 미사일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군 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북한이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미국에 대한 타격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가 짙다는 평가다. 특히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차관보가 12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 대해 "아마도 핵 공격을 수행할 향상된 능력을 가질 수 있겠지만, 그러고 나면 바로 죽는다"고 말한 데 대한 반발의 성격이 크다.

한편 미 전략사령부는 북의 무수단 미사일 발사 사실을 15일 발표했으나 우리 군은 미사일 발사 후 19시간 지난 뒤인 16일에 발표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발사 직후 실패해 이에 대한 공개가 촌각을 다투는 상황은 아니었다고"고 말했다.

그러나 합참이 그동안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즉각 이를 언론에 공개해왔다는 점에서 이런 설명은 다소 이해하기 힘든 측면이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