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와 김영란법 시행으로 소고기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국민 먹거리 1호인 한우 고기가 소비자들로부터 멀어지고 있다. 한우 고깃값은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3년 새 크게 올라 소비자들이 외면할 수밖에 없는 상황.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한우 고기는 먼 나라 음식이 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4년 전 한우값 안정을 위해 암소 감축사업을 벌이면서 소값은 계속해서 오르는 중이다.
농협에 따르면 한우 큰 수소(600㎏ 기준)는 이달 14일 기준 1마리당 평균 가격이 632만1천원이다. 이는 2013~2015년 3년간 10월 평균값(565만1천원)보다 12%(67만원)나 높은 것이다.
한우 숫자가 줄면서 소값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달 전국의 한우 사육두수는 264만 마리로, 2년 전보다 18만 마리나 줄었다.
소값 상승이 한우 고깃값 급등으로 이어지면서 육류를 찾는 소비자들이 소고기를 외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음식점에서 '한우 고기는 내 돈으로 절대 사 먹을 수 없는' 영역의 음식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한우 고기 소비자 선호도는 크게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조사한 '한우 소비'유통 모니터링' 연구용역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4년까지 2년 연속 '소비자 육류 선호도' 1위를 꿋꿋하게 지켰던 한우 고기가 지난해에는 돼지고기(43.5%)에 밀려 2위(35.4%)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수입 소고기는 갈수록 시장 점유를 높이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6월 수입된 소고기는 총 16만3천411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나 늘어나 시장개방 이후 가장 많은 양의 소고기가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한우 자급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3년 50.1%에 달했던 한우 자급률이 올 6월 39.9%로 급락했고 소비자들이 한우고기 대신 저렴한 돼지고기나 수입 소고기를 선호하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한우 산지로 유명한 영주에 사는 김홍일 씨는 "경제적 사정 악화와 김영란법 시행 등으로 한우 고기 수요가 줄면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봤지만 여전히 한우 고깃값은 비싸다"며 "가족들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값싼 돼지고기 삼겹살이나 수입산 소고기를 찾게 되는 이유"라고 말했다.
심상복 영주축산농협 상무는 "김영란법 시행 이후 식당 매출도 줄어들고 생육판매도 끊기고 있다. 선물세트가 안 나가는 게 아니라 아예 중단사태"라며 "추석 이후 큰 수소가 ㎏당 1만2천300원하던 것이 1만1천900원 선으로 하락했고 송아지는 450만원 선이던 것이 410만원 선으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최근 몇 년 새 가장 높은 가격이다. 한우 고기 외면 현상이 심각해 축산 기반이 무너질 판"이라고 하소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