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이나 만성 간염 등 만성 간질환 환자는 흔히 근육 경련 증상을 겪는다. 특히 간경변 환자 가운데 88%가 근육 경련 증상을 겪을 정도로 발생 빈도가 높다.
근육 경련의 치료제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약물은 '퀴닌'(quinine)이다. 그러나 퀴닌은 혈소판 감소증 등 치명적인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어 사용이 제한된다. 또 염산에페리손 등의 약제도 소화 장애와 전신 권태감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최근 근육 또는 관절 질환에 침과 전침 치료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전침 치료는 전압 및 주파수를 다양하게 활용한 침으로 전기 자극을 가해 단순한 침보다 강한 자극을 줌으로써 각종 통증질환이나 중풍, 근육 경직, 마비 등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이는 약물 복용이 제한되는 간경변 환자에게 비교적 안전하게 쓰일 수 있는 치료법이다.
최근 (재)통합의료진흥원은 '간경변 환자의 근경련에 대한 전침 치료의 효과'를 주제로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간경변 환자 24명을 무작위로 침 치료군과 대조군에 배정하고, 주 3회씩 4주간 침 치료를 시행하여 근육 경련 발생 횟수와 지속 시간 등을 평가했다. 연구에 참여한 피실험자들의 평균 나이는 63.2세였다.
치료 유효성 평가에서 침 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해 근육 경련의 발생 빈도와 지속 시간 모두 의미 있게 줄었다. 이 같은 결과는 침 치료 후 4주까지 일정하게 감소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침 치료가 간경변 환자들의 근육 경련을 호전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간경변 환자의 근육 경련 정도를 침 치료 전후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 침 치료는 근경련의 빈도 및 지속 시간을 직접적으로 개선했고, 침 치료가 종료된 이후까지 일정 부분 개선된 상태로 지속됨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근육 경련을 겪는 간경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침 치료의 기준점이 될 수 있고, 향후 관련 임상연구의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