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구가 안 보이는 경제난과 국정 혼란 등으로 국민 스트레스 수치가 늘어나면서 담배를 다시 피워 무는 이들이 늘고 있다. 담뱃값 인상으로 주춤했던 담배 소비도 다시 가파르게 증가해 가격 인상 전의 85% 수준까지 올라갔다.
22일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담배 판매량은 729억 개비로 전년(667억 개비)보다 9.3% 증가했다. 담뱃값 인상 전인 2014년 판매량(853억 개비)의 85.5%에 육박하는 수치다. 담배 세수도 지난해 12조원이 걷혀 담뱃값 인상 첫해인 2014년(6조9천억원)보다 5조원이나 늘어났다. 대구시의 경우 올해 담배소비세 목표 세입을 1천408억원으로 전년(1천160억원)보다 21% 늘려 잡았다.
세수 증대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표정관리'라도 해야 할 판이지만, 금연치료 지원사업은 시늉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올해 금연 관련 사업으로 1천479억원을 편성했지만, 이는 올해 국민건강증진기금 총액(3조2천927억원) 대비 4.5%에 불과한 수치이다. 국제보건기구(WHO) 분담금, 건강도시연맹총회 지원 등 국민건강증진과 무관한 곳에도 국민건강증진기금은 사용되고 있다.
그나마 금연치료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금연 성공률을 보면 민망스럽다. 국민건강보험공간이 실시하는 금연치료 프로그램에서 총 참여자 대비 금연 성공률은 0.5%에 그쳤다.
담배의 중독성은 헤로인, 코카인, 아편 못지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값을 인상해 흡연 인구를 줄이겠다는 발상은 실패가 예고된 탁상행정이었다.
담뱃값 인상은 결과적으로 정부 곳간만 채웠다. 그 곳간을 채우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경제적 고통을 받는 이들은 저소득층과 청년층, 노년층 등 사회적 약자들이다. 흡연 인구 감소에 대한 대대적인 정책 재검토와 방향 재설정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