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사드 보복을 무차별로 휘두르고 있지만 극단적으로 경제 제재를 이어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중국이 한국에 대해 전방위적 제재를 가하는 것은 이달 중 헌법재판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될 경우 새로 들어설 정부의 사드 배치 철회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을 소개했다.
중국 인민대 청샤오허(成曉河) 교수는 "중국은 한국의 차기 대통령을 설득해 사드 배치 거부를 끌어내기를 바랐다"며 "하지만 이제는 한국의 새 정권이 들어서기 전에 사드가 배치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이를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무역 전문가들은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관계를 고려할 때 중국이 극단적인 경제 제재를 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며 한국 또한 중국의 4위 교역국이다. 현재 성장 둔화를 겪는 중국이 한국과의 경제적 유대를 해치기를 바라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의 북한 전문 웹사이트 '38노스'도 중국 전문가인 이희옥 성균관대 교수의 기고문을 통해 이러한 관측에 힘을 실었다.
반면 동북아시아 전문가 왕둥 베이징대 교수는 "양국 모두 자국 국가 안보가 위태롭다고 여기기 때문에 상황이 낙관적이지 않다"면서 "이번 사태로 한중 관계가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