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산업에 주력하던 롯데그룹은 중국의 '한국 관광 금지령'이라는 초대형 악재에 직면했다.
롯데그룹은 창업주인 신격호 총괄회장이 '관광 입국'을 기치로 1980년대 이후 호텔'면세점'월드 등 관광 인프라 사업에 주력해왔다. 이 때문에 이번 조치는 그 어떤 규제보다도 롯데에 치명적이다.
가장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는 계열사는 롯데면세점이다.
지난해 롯데면세점의 시내면세점 매출 80%가 중국인 관광객으로부터 나왔다. 한국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항면세점까지 더해도 지난해 전체 롯데면세점 매출(약 6조원)의 중국 의존도는 70%(4조2천억원)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인 관광객의 절반 수준인 단체관광객이 사라진다면 롯데의 전체 연매출 가운데 2조1천억원(4조2천억원의 50%)의 매출이 사라질 전망이다.
롯데호텔과 잠실 롯데월드 고객 가운데도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각각 20%인 만큼 롯데는 잔뜩 긴장한 표정이다.
지난달 9일 준공하고 다음 달 공식 개장하는 국내 최고층 건물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123층'555m)도 관광객 유치와 분양 흥행에 차질이 예상된다.
롯데월드타워는 당초 신격호 총괄회장이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가 있어야 외국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구상한 건물이다. 중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50% 이상 끊어지면 롯데월드타워의 효용 가치도 그만큼 빛을 잃는다.
롯데가 국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부지를 제공했다 보니 중국 정부가 롯데를 겨냥해 이번 금지령을 내린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관광업계 한 관계자는 "롯데가 정부에 성주 골프장을 제공한 데 대해 중국이 보복 정책을 펼치는 것 같다"며 "중국의 반(反)한국, 반롯데 기류가 가라앉지 않을 경우 롯데 전체 계열사의 영업에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