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작년보다 4% 가량 올랐다.
개발 호재가 많은 제주는 20%, 부산은 10% 이상 올랐지만 지진피해가 있었던 경북과 신규 주택 입주 물량이 많은 충남과 대구 등지는 4~6% 하락해 지역 간 뚜렷한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1천243만호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28일 관보에 게재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 4.44% 상승해 작년(5.97%)에 비해 상승 폭은 둔화했지만 상승세는 4년 연속 이어졌다. 이번에 발표된 공시가격은 작년도 부동산 시황을 반영한 것이다.
전셋값 상승에 따른 매매시장 활성화, 아파트 분양가 상승, 재건축 등 개발사업의 영향으로 공동주택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5.88%, 지방 광역시가 3.49% 각각 상승한 반면 나머지 시·도는 0.35% 하락해 대조를 보였다.
시·도 중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제주(20.02%)였다. 인구 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서귀포혁신도시, 강정택지개발지구 등의 각종 개발 사업으로 주택 수요가 증가했다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뒤이어 부산(10.52%), 강원(8.34%), 서울(8.12%) 순으로 12개 시·도가 상승한 반면 경북(-6.40%), 충남(-5.19%), 대구(-4.28%), 충북(-2.97%), 경남(-1.59%) 등 5개 시·도는 하락했다.
가격 수준별로는 6억원 이하 주택이 3.91%, 6억원 초과 주택은 8.68% 각각 상승해 고가주택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가격대 중 가장 상승 폭이 큰 주택은 9억원 초과 주택으로, 작년에 비해 8.97% 올랐다.
국토부 관계자는 "재건축 사업 등 정비사업의 진행과 고분양가의 영향으로 6억원 초과 공동주택이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주택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85㎡ 이하 주택이 4.63%, 85㎡ 초과는 3.98% 각각 상승해 중소형 주택의 상승률이 더 높았다.
구간을 나눠 봤을 때 33㎡ 이하 주택의 상승률이 6.26%로 가장 높았다. 이는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소형 주택 수요가 높아져 가격도 상대적으로 많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국에서 가장 비싼 공동주택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트라움하우스5단지로, 전용면적 273.64㎡의 공시가격이 66억1천600만원을 기록했다. 이 주택의 가격은 작년에 비해 4.0% 올랐다. 2006년 이후 1위 자리를 지켰다.
공시가격은 조세 부과와 건강보험료 산정, 기초노령연금 수급대상자 결정, 재건축부담금 산정, 이행강제금 산정 등 부동산행정 등 60여종의 행정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28일 전국 250개 시·군·구에서는 개별 단독주택 396만가구의 가격을 각각 공시한다.
개별 단독주택 공시가는 전국 평균 4.39% 올라 작년(4.29%)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시·도별로 제주(16.77%), 부산(7.43%), 세종(6.78%) 등 순으로 올랐고, 하락한 곳은 없었다.
서울은 5.18% 상승해 작년(4.51%)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주택 소유자들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www.realtyprice.kr) 또는 공동주택이 있는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내달 29일까지 주택 공시가격을 열람하고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