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토성 복원 사업의 최대 걸림돌이던 달성공원 동물원의 대구대공원 부지 이전이 최근 확정 발표됐다. 그동안 이런저런 이유로 지지부진했던 달성토성 복원 사업도 큰 전기를 맞게 됐다.
달성토성은 대구의 상징 같은 유적이다. 1천800여 년 전에 조성된 달성토성은 신라,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유구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또한 19세기 말 일본군이 대륙 진출을 위한 주둔지로 활용하고 일제가 기념공원으로 만들어 신사(神社)까지 조성하는 등 황국 식민화의 뼈아픈 기억도 갖고 있다. 달성토성은 광복 후 원래 모습을 찾았어야 했는데 1970년에 동물원마저 들어섬으로써, 유서 깊은 '토성'이 아니라 동물원이 낮잠 자는 '공원'으로 시민 뇌리에 각인되기에 이르렀다.
달성토성 복원 여론이 높게 일면서 2010년 복원 사업이 국책 사업으로 지정되는 등 서광이 비치는가 했지만, 지지부진한 동물원 이전이 다시 발목을 잡았다. 복원 사업의 최종 허가권을 쥔 문화재청이 동물원이 있는 한 사업 추진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대구시는 확보된 국비 92억원을 반납하는 촌극이 빚어진 것이다.
이제 동물원 이전 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대구시는 관련 연구 용역을 조만간 발주하는 등 토성 복원 사업을 재추진키로 했다. 용역 결과가 나오는 대로 문화체육관광부의 공모 사업에 재신청한다는 로드맵도 내놨다. 당면한 과제는 대구시가 복원 사업 계획을 아주 치밀하게 잘 만들어 공모에 선정되고 국비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다.
달성토성은 우리나라에서 보존이 가장 잘 된 토성 중 하나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대구를 대표하는 명소로 재탄생할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그냥 옛 토성을 적당히 흉내 내는 수준으로 돌을 쌓고 겉보기에 번드르르한 목조 건물 몇 동 짓는 정도로 사업을 진행해서는 안 된다. 달성토성 복원 사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구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담겠다는 지향점을 분명히 설정해야 한다.
예산과 시간이 더 들더라도 지표 조사 및 철저한 고증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가 된다고 했듯이 역사문화관광 및 교육자원으로서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와 시민들의 아이디어도 광범위하게 수렴해야 한다. 아울러 어지러운 주변 마을 환경을 토성과 잘 어울리게 정비하고 토성 앞을 흘렀던 달서천도 이참에 복원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