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매체 '韓사드 보고누락' 파문 집중보도…"文대통령에 시험대"

중국이 한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보고 누락과 관련한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31일 사드 발사대 4기 추가 반입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진상조사 지시를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환구시보는 이날 관련 내용을 전하고, 정치적 파장이 확대될 수 있으며 군부 인사에 '지진급' 변동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또 사드 장비 추가 반입 보고 누락 사건의 파장이 한미,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신문은 문 대통령이 6월 말 방미, 그리고 7월 주요 20개국(G7)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해당 사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환구시보는 문 대통령이 사드를 철회한다면 한미동맹에 중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지만, 사드 배치를 기정사실화한다면 '적폐 청산'을 외치는 문 대통령은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인터넷에선 사드 배치 보고 누락 사건과 관련해 한국이 "연기를 하고 있다"는 반응도 있다.

그럼에도 뤼차오(呂超)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한반도연구센터 연구원은 "연기를 하고 있다"는 추측은 사리에 맞지 않다고 잘라 말하고, 문 대통령이 경선 당시 일관되지는 않았지만 '사드' 반대 입장을 표시한 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뤼 연구원은 이번 사건이 문 대통령에게는 시험대가 될 수 있다면서 진상조사가 어느 정도까지 이뤄질지, 어떻게 처리될지 관심이 모인다고 덧붙였다.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대선 기간에 사드 발사대를 비밀리 반입한 것은 안보 이슈를 정치화하려는 보수 세력의 계산이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홍콩 봉황망도 문 대통령이 사드 발사대 추가 반입 경위에 진노했다는 기사를 주요 뉴스로 보도하며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봉황망은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가 25일 박근혜정부에서 이뤄진 사드 배치 결정을 조사하겠다고 말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중국 반관영통신인 중국 신문망도 한국 내부에서 사드 배치 문제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는 와중에 문 대통령이 이런 지시를 했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