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등 야 3당이 18일 문재인 대통령의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명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지만,공조체제 가동을 통한 공동 대응에는 나서지 못하는 형국이다.
의석수로 과반인 167석의 야 3당은 그동안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나 임명 철회를 요구해 왔지만 정작 강 후보자 임명 이후 공조를 통한 실력대결에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와 셈법도 한몫하는 등 단일대오에는 균열이 생기면서 거야(巨野)임에도 불구,견제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기에 집권 초기 정부·여당의 높은 지지율도 야권으로서는 대여 동력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꼽힌다.
표면상 야 3당은 강 후보자 임명이 이뤄지자 청와대와 여당을 향한 공세 수위를높이고 있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사 실패에 대한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과 조현옥 인사수석의 책임론을 따지기 위해 국회 운영위 소집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부적격으로 분류한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가 필요하다는 데도 단일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추가경정예산안 역시 야 3당은 추경 요건에 해당하지 않고 공무원 증원을 늘리는 방식이 옳지 않다며 반대 입장을 정했다.오는 28일 시작되는 문 대통령의 방미에 동행해 달라는 요청에도 불응할 태세다.
그러나 이면을 보면 이를 야 3당이 공감대를 형성한 '찰떡 공조'의 결과로 보긴어렵다.오히려 각자 행보의 결과 공통점이 일부 드러났다는 표현이 정확해 보인다.
실제로 강 장관 임명 이후 바른정당은 19일 국회 일정 보이콧을 선언했지만 한국당과 국민의당은 상임위 회의에는 참석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한국당은 추경,정부조직법,김이수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인준표결 등 국회 연안에 사실상 연계시키겠다는 생각이 강하지만 국민의당은 청문 정국과 이들 사안은 별개라며 선을 긋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당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한국당은 새 정부 초반부터 '강한 야당'을 기치로 사안마다 비판에 주력한 반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협력과 견제를 동시에 내건 터라 기조 변화가 용이하지 않은 면이 있다.
또 보수정당을 표방하는 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보수 주도권 경쟁 관계라 어느 정도 차별화가 필요하다.
특히 캐스팅보트인 국민의당의 생각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국민의당은 지역적 기반인 호남 민심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과 민주당에 쏠려있는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자칫 보수정당과 손잡는 모습은 역풍을불러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야 3당은 당분간 공조를 하더라도 공개적인 행보 대신 물밑 조율을 통해 대여 압박에 나서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당 관계자는 "바른정당과는 공조에 상당한 교감이 있고 국민의당과도 큰 틀의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며 "그러나 국민의당이 보수정당과 함께하는 것을 꺼려 야3당 회동처럼 공개 일정을 잡는 데는 제약이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사안별로 다른 정당과 뜻이 같을 수 있지만 야3당 공조는 검토하지 않는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이용호 정책위의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공조 방안을) 논의한 바 없다.대응의 강도가 달라 입장을 같이 취한다고 볼 필요는 없다"고 선을 그었고,김동철 원내대표도 "국민의당은 국민의당의 길을 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