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대엽 전 노동부장관 후보자의 사퇴로 꽉 막힌 여야 대치에 숨통이 트이면서 국회 정상화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주에도 여야 간 풀어야 할 굵직한 이슈가 많아 정치권의 '협치'가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오른다.
이번 주에는 인사청문회가 가로막은 추가경정예산안과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에다 17일부터 4건의 인사청문회도 대기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16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조정소위원회를 열어 추경안 심사를 재개하면서 18일 본회의 때 추경 상정을 목표로 막판 심사에 공을 들이고 있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역시 17일 오전 안전행정위원회 전체회의 및 소위원회에서 논의가 예정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5당 대표와의 오찬 회동을 제안, 18일 본회의 쟁점안 타결 '뒤풀이'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정상외교 성과와 외교'안보 상황을 각 당 대표에게 설명하며 '협치' 공감대를 형성할 예정이다.
그러나 야당이 정부'여당의 뜻대로 움직여줄지는 미지수다.
일부 야당은 추경이 전쟁 발발이나 경기 침체, 대량실업 때 편성할 수 있는 국가재정법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법적 요건조차 갖추지 못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일자리 예산과 관련해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공무원 1만2천 명 증원을 위한 시험비(80억원) 편성에 반대하고 있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역시 야당 입장이 반영되지 않은데 대한 불만이 쌓여 있다. 한국당과 바른정당은 환경부로 물관리를 일원화하는 방안에 반대하고 있다.
또 최종구 금융위원장(17일)'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18일)'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19일)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이번 주 개최된다.
문재인정부 1기 내각의 '파이널 인사청문회'인 만큼 야당은 마지막까지 고삐를 늦추지 않고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논문 표절 의혹, 재산 축소 신고 의혹, 아파트 투기 의혹 등이 제기돼 있고, 백 후보자에게는 한국수력원자력의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사 일시 중단 결정 등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중심으로 야권의 파상 공세가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