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경북 고령 우곡면 '포동신양수장'에 낙동강 중상류 보 개방 모니터링을 위한 민관협의체 위원 20여 명이 모였다. 4대강 대형 보의 상시 개방에 따라 양수장 농업용수 취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자 현장을 확인하기 위해서다.
합천창녕보 상류 약 4.3㎞ 지점에 위치한 포동신양수장은 4대강 사업 이전인 1997년 준공됐다. 주변 농지 약 45㏊에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보 개방 이전 해당 양수장의 수위는 10.5m였으나 보 개방 이후 현재의 수위는 9.5m로 낮아졌다.
양수장 관계자는 "수위가 조금만 더 내려가도 용수 공급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4대강 사업 이전에 설치된 양수장인데도 취수할 수 없다는 게 이해되지 않는다'는 환경단체 측 질문에는 "4대강 사업 당시 준설로 강바닥이 6m가량 낮아져 기존 양수장도 개선이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양수장 방문에 앞서 대구환경청에서 열린 민관협의체 회의에서도 보 개방에 따른 양수장의 농업용수 취수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민간 측 위원장인 이순화 영남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4대강 사업으로 녹조가 조금 더 심해졌을 수는 있지만, 홍수 통제, 가뭄 해결 등 치수에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이라며 "양수'취수시설에 따라 직접 피해를 볼 수 있는 농민과 전문가, 환경단체 등이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민들은 보 개방 이후 농업용수 공급에 지장은 없는지 여전히 궁금해했다. 김종철 달성군 농민 대표는 "달성군 주민에게 강정고령보 물은 식수 말고도 농업, 공업용수로 쓰이는 중요한 자원"이라며 "수위가 1.25m나 낮아져 가둬뒀던 물 4분의 1이 사라졌는데 앞으로 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새 정부가 재자연화를 목표로 삼은 만큼 이제 중요한 것은 실천"이라면서 "양수장 등 시설을 개선하면 보 개방이 가능하다는 점이 드러났으니 비용을 들여서라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자문위' 첫 회의…역사성·공공성 등 논의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
한중 정상회담서 원·위안 통화스와프 등 7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