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군 병곡면 금곡리 천년고찰 유금사에서 국보급 통일신라시대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됐다. 이번에 출토된 금동여래입상은 비슷한 시기에 출토된 금동여래입상 중 가장 크고 잔존상태나 미학적인 면을 고려할 때 지정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9일 영덕군에 따르면 지난 6월 유금사 3층 석탑(보물 제674호) 보수작업 과정에서 인근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벌이던 중 탑의 남서쪽 가장자리에서 9세기쯤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됐다.
조사를 담당한 삼한문화재연구원은 이번 출토된 금동여래입상이 높이 39.5㎝에 광배는 탈락하고 없으나 전체적으로 잔존상태가 양호하며 불상의 법의의 형태로 미루어 9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슷한 시기의 금동여래입상은 경주 안압지 출토 금동여래입상(24.7㎝), 홍천 물걸리사지 출토 금동여래입상(22.6㎝), 의령 보리사 출토 금동여래입상(26㎝) 등 수 점에 불과하다.
유금사는 영덕군 병곡면 금곡리 칠보산에 있는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민간업자 김만배·유동규 1심 징역 8년…법정구속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자문위' 첫 회의…역사성·공공성 등 논의
시진핑에 '최고급 바둑판' 선물한 李…11년전 '바둑알' 선물에 의미 더했다
한중 정상회담서 원·위안 통화스와프 등 7개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