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영주 고용부 장관 후보자, 농구선수 출신 노동분야 전문가

文 정부 '여성 장관 30%' 약속 지켰다

23일 문재인 대통령이 고용노동부 장관에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국회의원을 지명하면서 새 정부조직법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제외한 17개 부처 장관에 대한 인선이 마무리됐다.

문 대통령은 조대엽 후보자의 낙마로 공석이 된 고용부 장관에 김 의원을 지명하면서 자신이 공약한 '여성 장관 30%' 약속을 달성하게 됐다.

현재까지 중앙행정조직의 수장 중 임명된 장관급 여성 공직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등 5명이다.

지난 20일 국회를 통과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따라 국가보훈처장이 차관급에서 장관급으로 격상돼 기존 17자리(17부'5처'16청)였던 장관급이 19자리(18부'5처'17청, 중소벤처기업부 신설)로 늘어났다. 만약 김 후보자가 청문회를 통과하면 여성 장관(장관급)은 6명이 돼 그 비율은 32%에 이르게 된다.

문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약집 '나라를 나라답게'에 '남녀 동수 내각 구성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적시해 여성 장관 등용 의지를 내비쳤고, 초기 내각의 여성 장관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2015년 기준 29.3%) 수준인 30% 선에 맞췄다.

농구선수 출신이라는 이례적인 경력을 지닌 김 후보자는 서울신탁은행 노조 간부를 거쳐 전국금융산업노조에서 여성 최초로 상임부위원장을 지냈다. 이후 정치권에 입문해 17, 18대를 거쳐 20대에도 국회에 입성한 3선의 중진 의원이다. 국회에서 환경노동위원장을 지내는 등 노동 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김 후보자는 "양극화와 일자리 창출, 장시간 노동 등의 문제를 풀려면 노'사'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을 하고 싶어도 못 하는 문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노동의 대가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 고용의 형태에 따라 같은 노동을 제공하고도 차별을 받고 있는 문제가 해소돼야만 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를 극복할 수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25일 새 정부조직법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는 대로 신설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차관급인 통상교섭본부장 인선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