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베트남에서 구미로 시집온 누엔티항입니다. 한국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하지만 다문화가족 공부방 덕분에 한국어가 조금씩 늘어가고 있고, 한국생활에도 잘 적응하고 있습니다.'
지난 20일 구미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개최한 다문화가족 한국어 공부방 백일장 '나도 작가다'에서 '작가상'을 받은 누엔티항 씨의 작품 중 일부다.
구미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센터장 장흔성)는 지난 19~20일 올해 다문화가족 한국어 공부방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 2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백일장 및 상반기 종강식을 가졌다.
백일장에는 한국살이의 어려움, 친정 가족에 대한 그리움, 남편에 대한 고마움, 자기 자신에 대한 격려 등 서툰 한국어이지만 깊은 감동을 주는 작품 100여 점이 출품됐다. 한국어 공부방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들은 이날 한 학기 수업을 마무리하고, 하반기 수업 방향에 대해 상호 간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구미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운영하는 다문화가족 한국어 공부방이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공부방 수업은 첫걸음반부터 고급반까지 5단계로 나눠 진행되며 한국어 외에도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 교육제도에 대한 교육 등 다양한 내용을 마련했다.
구미 형곡동에 위치한 센터 측은 구미의 결혼이민자(1천535명)들이 많이 살고 있는 인동동(246명)'양포동(190명)'상모사곡동(152명)을 비롯해 선산'고아읍 등 읍'면 지역 거주자들을 위해 찾아가는 공부방 3곳을 운영하며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시집 온 이선화(28) 씨는 "공부방을 통해 유익한 생활정보를 얻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으면 한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054)464-0545.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