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주 지진 1년여 만에 포항에 5.4 지진, 흔들리는 한반도

관측 사상 역대 2위인 규모 5.4의 지진이 15일 포항에서 발생했다. 이번 지진으로 포항 등지에서는 15일 오후 7시 현재 14명이 다쳤으며 건물 및 차량 파손 등의 피해가 속출했다. 또한 16일 치러질 예정이던 올해 대입수능시험이 여진 우려 등에 따른 학생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일주일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해 9월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인 5.8 지진이 경주에서 발생한 지 1년 2개월 만에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이번의 포항 지진은 심상치 않다. 발생 시 큰 피해를 낼 수 있는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한반도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지난해 경주 지진 때 피해를 입은 건물의 복구조차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다시 강력한 지진을 맞은 경주 및 포항 시민들은 불안과 공포에 떨고 있고 전 국민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경주 지진 발생 때 정부와 지자체는 우왕좌왕했고 각종 지진 대책을 요란스럽게 쏟아냈지만 1년여가 지난 지금 달라진 것은 크게 없다. 올해 하반기부터 신축되는 모든 주택에 대한 내진설계를 의무화하기로 했고 대상도 확대했지만, 기존 건물은 강진에 속수무책인 상황이다. 지진 긴급재난문자 전파 시스템이 개선돼 늑장 전송이 이번에는 되풀이되지 않았지만 구형 단말기 소유자들에게는 긴급재난문자가 여전히 서비스되지 않는 등 허점이 드러났다.

그나마 동해안에 위치한 원전들은 별 피해 없이 정상 가동되고 있다니 다행스럽다. 최근 한국수력원자력은 신고리 5'6호기의 핵심시설 내진 성능을 규모 7.4로 강화하고 현재 운영 중인 원전 24기의 내진 성능도 7.0으로 올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속도를 낼 필요성이 높아졌다.

한반도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이제 가설이 아니라 팩트다.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2년 연속 발생한 만큼 그보다 더 강력한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정부와 지자체들은 대책을 세우고 실행에 옮겨야 한다. 2041년으로 돼 있는 지진단층조사 완료 시기도 앞당겨야 한다. 인력으로 어쩔 수 없는 자연 재앙이라 할지라도 지진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빨리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놓는 것이 정상적인 문명국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