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주도로 올해 3% 성장이 확실시되지만, 수출에서 수입분을 뺀 순수출은 오히려 성장률을 깎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기세라면 순수출은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26년 만에 처음이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순수출(수출-수입) 성장기여도(원 계열 기준, 작년 동기 대비)는 -0.9%포인트(p)였다.
3분기 한국 경제는 1년 전과 비교하면 3.8% 성장했는데 이 중 내수가 4.8%p 끌어올린 것을 순수출이 1%p 가까이 갉아먹었다.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올해 1분기 -1.9%p, 2분기 -2.3%p에 이어 3분기까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4분기 큰 폭의 플러스를 기록하지 않으면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연간으로도 마이너스가 된다. 이 경우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2015년(-1.0%p), 2016년(-0.7%p)에 이어 3년 연속 성장률 불효자로 기록된다.
올해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호조인데 순수출 성장기여도가 마이너스인 배경에는 반도체 수출 가격 상승이 있다. 또 수출보다 수입이 많이 증가한 탓도 있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최근 수출이 잘 된다는 것은 반도체 착시 현상"이라며 "반도체가 물량보다 가격에 의존하기 때문에 순수출은 마이너스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순수출 성장기여도 마이너스는 반도체 수출 증가세 뒤에 가려진 한국 경제 상황이 드러난 결과로도 풀이된다. 오 특임교수는 "최근 수출이 잘 되고 있지만 반도체 단가가 하락하면 위험할 수 있는 만큼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