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군 당국은 올해 8월로 예정됐던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목표로 한 북미 대화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미가 UFG 연습의 일시 중단을 공식 발표함에 따라 북한이 취할 비핵화 후속 이행조치에 관심이 쏠린다. 이번 결정이 군사적 측면에서 미국의 대북 적대시 행동을 해소하는 첫 번째 조치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한미 국방부는 19일 “한미는 긴밀한 공조를 거쳐 8월에 실시하려 했던 방어적 성격 UFG 연습의 모든 계획활동을 유예(suspend)하기로 했다”며 “추가적 조치에 대해서는 한미 간 계속 협의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양국 국방부는 이어 “후속하는 다른 (한미 군사) 연습에 대한 결정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후속 연습은 키리졸브(KR)와 독수리(FE) 훈련 등을 말한다.
UFG 연습 일시중단은 1990년 이후 28년 만에 이뤄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한미는 1990년 미국 측의 걸프전 참전 때문에 당시 UFL(을지포커스렌즈) 연습을 중단한 적이 있다. 이번 UFG 연습 유예는 1990년 이후 두 번째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1992년에도 북한 비핵화를 유도하기 위해 팀스피릿 훈련이 중단된 적이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우리 정부 차원의 군사지원훈련인 을지연습을 중단하는 방안도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19일 내놨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 차원의 을지연습 중단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UFG처럼 중단·유예(suspend)하는 방식이 있고, 또 예전처럼 하는 방법도 있다. 세 번째로는 상황에 맞게 성격을 좀 변화시켜서 하는 방법도 있다. 이 중에 결정되지 않을까 싶다”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등 비핵화 의지를 실천적이고 선제로 보여준 측면이 있다고 평가한다”며 “문재인 대통령도 얘기했듯, 북한이 비핵화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고 대화가 유지된다는 조건을 달고서 군사연습이 유예되는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