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원구성 협상 쟁점은? 의장단 구성, 상임위원장 배분 두고 각 정당 이견 커

바른미래당 김관영 신임 원내대표(왼쪽)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를 예방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 김관영 신임 원내대표(왼쪽)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를 예방해 얘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가 오늘(27일)부터 본격적인 원 구성 협상에 돌입한다.

일단 협상테이블에 마주 앉게 됐지만 합의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국회의장단과 이른바 '알짜 상임위원장' 배분방식을 두고 각 당의 입장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각 정당은 협상시작 전부터 여론전을 펼치는 등 '줄다리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여야는 27일 오후 2시30분 국회 귀빈식당에서 원내대표 회동을 열고 제20대 후반기 국회 원 구성 협상을 하기로 26일 합의했다.

하지만 상황은 제20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 협상 당시보다 복잡하다. 원내교섭단체가 3개(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에서 정의와 평화의원모임까지 4개로 늘었기 때문이다. 협상당사자가 늘어나면서 각 당의 요구사항을 조율할 수 있는 여지는 오히려 줄었다.

먼저 의장단 구성과 관련해선 의장 선출방식과 부의장 배분 문제가 핵심쟁점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관례대로 원내 제1당인 민주당이 의장을 맡고 여야합의로 본회의에서 의장을 선출하자는 입장이다. 이미 문희상 의원을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해놓았다.

하지만 부의장 1석을 요구하고 있는 정의와 평화의원모임은 자유투표를 주장하며 민주당에 견제구를 날리고 있다. 전반기 원 구성 결과 부의장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에 각각 1명씩 배정됐다.

민주당 관계자는 "정의와 평화 의원모임의 '자유투표' 주장은 상임위원장 배분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차원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의장단 구성은 예상보다 쉽게 전반기의 전례를 따르는 방식으로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상임위원장 배분논의는 의장단 구성 협상보다 더욱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4개 교섭단체가 18명의 상임위원장 자리를 나눠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민주당과 한국당은 주요 상임위원회 가운데 핵심·알짜 상임위를 두고 힘겨루기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당 관계자는 "각종 안건의 본회의행을 결정할 수 있는 법제사법위원장은 의장의 소속 정당과 다른 정당에서 맡는 것이 관례였다"고 주장하며 절대 양보불가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은 법사위원장을 넘겨주는 대신 여당임을 강조하며 정보위원회와 국방위원회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민주당은 의석수에 따라 민주당 8곳, 한국당 7곳, 바른미래당 2곳,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1곳으로 상임위원장 배분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정의와 평화의원모임은 2곳의 상임위원장을 요구하고 있다. 평화당과 정의당 두 정당이 합쳐 교섭단체를 구성했기 때문에 각 정당이 한 명씩 상임위원장을 맡기 위한 포석이다. 평화당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혹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정의당은 환경노동위원회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