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1대 총선을 앞두고 전국 당협위원장 전면 교체 등 대대적인 인적 쇄신 작업을 벌일지 주목된다.
한국당은 통상적으로 전당대회에 앞서 전국 규모의 조직 정비에 나선다. 조직정비 가운데 가장 큰 부분이 전국 17개 시·도당 위원장과 국회의원 선거구를 관리할 당협위원장 재임명 또는 교체 작업이다.
김 위원장은 최근 "비대위원장 권한 가운데 가장 큰 것 중 하나가 당협위원장 교체"라며 "현역 의원까지 포함한 당협위원장 교체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이 추진하려는 인적쇄신 작업 규모가 어느 선까지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우선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인명진 전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으로 거슬러 올라가 필요가 있다.
'인적 청산'을 강조한 인 전 위원장이 당 간판에 오르자마자 비박계 의원 29명이 탈당해 '개혁보수신당'을 창당했고, 친박계인 이정현 전 대표도 탈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인 전 위원장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서청원·최경환 의원 등 친박계 핵심 인사의 탈당을 촉구하면서 인적 청산 작업을 멈추지 않았다.
홍준표 전 대표는 대구 북을에 '셀프 당협위원장'을 확정한데 이어 전국 80여 개에 달하는 지역위원장을 새롭게 임명한 바 있다.
수십 명의 현역 의원을 탈당시키고, 당협위원장 교체가 가능했던 이유는 비대위원장이 당 대표와 거의 같은 규모의 권한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 총선 전 김무성 전 대표는 세부적인 당무라도 당 대표가 직접 추인해야만 처리할 수 있게 대표 권한을 한껏 강화해 놨다.
김 비대위원장도 이 같은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는 최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제가 당 대표로서 가지는 권한이 인적청산과 관련된 당협위원장을 교체할 수 있는 권한밖에 없다"며 "우리가 세워놓은 비전과 가치를 존중하지 않고 같이할 수 없는 인사는 현역 의원이라 하더라도 당협위원장직을 박탈·해제 할 수 있고 그런 과정이 잘됐다고 인정받을 경우 박탈당한 사람은 결코 복권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현역 의원이라도 9월 정기국회 성과나 김 위원장이 최근 구성한 당 쇄신 관련 소위원회에서의 활동상에 따라 당협위원장 교체 명단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교체 시기는 내년 초 전당대회가 예상되는 만큼 올해 연말쯤으로 전망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