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내년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이하 임정) 수립 100주년을 대대적으로 기념한다. 생계 곤란을 겪는 독립운동가 유가족에게 주택을 제공하며 대구 애국보훈대상을 제정해 시상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내년부터 ▶기억과 기념 ▶발전과 성찰 ▶미래와 희망 3개 분야에 대해 15개 세부 독립 관련 사업을 벌인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1919년 3·1운동 및 임정 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하는 것이다.
대표적 사업에는 '대구 애국보훈 대상'이 있다. 내년부터 개인과 단체로 나눠 애국보훈 대상을 시상한다. 개인에 대해서는 독립, 호국, 민주 부문으로 시상할 계획이다.
조상 및 가족이 독립운동에 뛰어들었음에도 제대로 대우받지 못해 생계곤란을 겪는 유가족 2천 명에게는 '유족 지원사업'을 통해 영구임대아파트, 다가구주택 등 주거지를 제공한다. 시는 3·1절과 호국보훈의 날, 광복절마다 유족들 특별 위문을 할 방침이다.
대구시립 중앙도서관에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전시관을 설치하는 '국채보상운동 아카이브 구축' 사업으로 시민 자긍심을 높인다.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201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서울 종로구, 경북 안동시와 함께 '3·1운동 100주년 우국시인 현창문학제'도 연다. 이상화, 이육사, 윤동주 등 항일 민족시인 대표 3인의 애국정신을 계승하고 우수 문학인을 발굴하는 등 다양한 행사를 병행한다.
각계각층 시민이 참여하는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정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시민추진위원회'(가칭)를 꾸려 독립운동 성지 대구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한다. 3·1운동과 임정 수립에 대해 기념사업, 문화·예술·학술·교육 행사, 출판 등 사업을 벌인다.
이 밖에도 대구시는 내년 3·1절에 8개 구·군과 협업해 독립운동·항일 유적지 10곳에서 동시에 '범시민 3·1운동 및 임정 수립 100주념 기념식, 만세운동 재연행사'를 연다. 행사는 시내 주요 전광판과 페이스북·유튜브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실황 중계한다. 다채로운 공연·문화 예술행사, 시민 참여 프로그램, 태극기 달기 운동 등도 함께 계획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는 영남 최고의 독립만세 지역이자 호국보훈의 도시다. 내년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정 수립 100주년 기념식을 대구 전역에서 범시민 운동으로 펼쳐 시민 모두가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되새기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