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아시아 바다 다시 태풍밭…17·18·19호 태풍 곧 발생 전망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7호 태풍 미탁, 18호 태풍 라가사, 19호 태풍 너구리 등 태풍 3개 18~19일 중 연달아 발생할 것으로
필리핀·대만 향하는 38호 열대저압부, 태풍 발달 시 '강도 3' 수준 강한 태풍 될듯

일본기상청 18일 오전 6시 발표 (왼쪽부터)37·38·39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곧 17호 태풍 미탁, 18호 태풍 라가사, 19호 태풍 너구리로 발달할 전망이다.
일본기상청 18일 오전 6시 발표 (왼쪽부터)37·38·39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곧 17호 태풍 미탁, 18호 태풍 라가사, 19호 태풍 너구리로 발달할 전망이다.

18~19일 중 17호 태풍 미탁, 18호 태풍 라가사, 19호 태풍 너구리 등 3개 태풍이 연달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태풍 전 단계 '열대저압부' 3개 세력이 현재 동아시아에 접하는 북서태평양 바다에서 활동 중인 것.

37·38·39호 열대저압부가 먼저 세력을 키우는 순서대로 태풍 이름을 차례로 부여받을 예정이다.

기상청 18일 오전 5시 30분 발표 39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기상청 18일 오전 5시 30분 발표 39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기상청은 18일 오전 5시 30분을 기해 괌 북동쪽 2000여km 해상에 39호 열대저압부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앞서 각국 기상당국이 감시하던 91W 열대요란이 세력을 키운 것이다.

39호 열대저압부는 앞으로 일본 본토를 향해 서진하며 태풍으로 발달할 전망이다.

▶또한 기상청은 앞서 16일 37호 열대저압부, 17일 38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업데이트를 잇따라 시작했다.

기상청 18일 오전 4시 30분 발표 37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기상청 18일 오전 4시 30분 발표 37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37호 열대저압부는 16일 낮 필리핀 루손섬 남서쪽에서 발생, 루손섬을 북서진으로 관통해 18일 오전 현재 남중국해를 지나고 있다. 행선지는 중국 홍콩, 마카오, 광둥성 일대이다. 태풍으로 발달할 경우 강도 1의 세력을 유지하다 20~21일 홍콩 인근을 통해 중국 남부 지역에 상륙, 곧장 소멸할 전망이다.

기상청 18일 오전 5시 발표 38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기상청 18일 오전 5시 발표 38호 열대저압부 예상경로

38호 열대저압부는 17일 낮 루손섬 동쪽이자 팔라우 북쪽 해상에서 발생했다. 현재 완만한 북서진 경로를 밟으며 루손섬과 대만 사이 해상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곧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예보에서는 필리핀과 대만에 가까워지며 위력이 점점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닷새 뒤인 23일쯤 루손섬 바로 북쪽 해상에 다다랐을때 쯤 중심기압 970hPa(헥토파스칼)에 강도 3의 위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때까지 태풍이 계속 강해지는(중심기압이 계속 하강하는) 맥락이고, 이후 더욱 강한 태풍으로 몸집을 키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참고로 태풍 강도는 1~5로 분류한다)

3개 태풍 후보(열대저압부) 중 가장 주시해야할 세력이다.

일본기상청 19일 오후 9시 시점 예상 동아시아 일기도. 3개 태풍(3개 빨간 원)의 동시 활동이 전망된다.
일본기상청 19일 오후 9시 시점 예상 동아시아 일기도. 3개 태풍(3개 빨간 원)의 동시 활동이 전망된다.

▶이들 열대저압부가 나타난 순서는 숫자 그대로 37·38·39호 순인데, 태풍 명명 순서는 뒤바뀔 수 있다.

'최대풍속 17㎧' 등 태풍 기준을 누가 먼저 충족하느냐가 관건이다.

다만, 미탁, 라가사, 너구리 등 3개 이름을 나눠 갖는 건 예정돼 있다.

미탁(Mitag)은 태풍위원회 14개국 중 미크로네시아연방에서 제출한 태풍명이다. 여성 이름이다.

라가사(Ragasa)는 필리핀에서 낸 태풍 명칭이다. 타갈로그어 다가사(Dagasa)의 변형으로 '빠른 움직임'을 뜻한다.

너구리(Neoguri)는 대한민국 몫 이름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동아시아와 러시아 극동 지역에 서식하는 포유류 동물 이름.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