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 심리지수가 석 달째 떨어졌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4∼20일 중소기업 3천15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1월 중소기업경기전망 조사'에서 업황 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가 80.9로, 3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전달보다 4.5 포인트(p) 하락하고, 올해 1월과 비교하면 3.4p 내린 수치다.
중기중앙회는 정부의 경제노동정책과 민간 영역의 생산·설비투자 부진으로 경제 심리가 위축돼 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또 건설업 수주감소에 경기 상황에 대한 서비스업의 실망감이 겹쳐 비제조업 역시 하락세를 보였다는 것이다.
내년 1월 제조업의 SBHI는 전달보다 2.9p 하락한 81.3, 비제조업은 전달보다 5.6p 하락한 80.7이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음료, 자동차·트레일러 등 7개 업종이 개선됐지만, 전기장비, 인쇄·기록매체복제업, 고무제품·플라스틱제품 등 14개 업종은 악화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이 지속적인 수주액 감소로 1.6p 하락, 4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12월에 반등했던 서비스업 역시 6.6p 내렸다. 서비스업에서는 숙박·음식점업, 수리·기타 개인 서비스업, 부동산업·임대업 등 10개 전 업종에서 하락했다.
경기변동 항목별로는 수출 전망 지수가 12월 85.3에서 내년 1월 88.3으로 유일하게 올랐다. 그러나 내수판매, 영업이익, 자금 사정 전망 등의 항목은 모두 하락했다.
경영상 어려움을 물었을 때 내수부진(60.2%·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인건비 상승(58.8%), 업체 간 과당경쟁(37.7%), 원자재 가격상승(22.9%) 순이었다.
한편 중소기업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중소제조업체 생산직 종사자의 하루 노임(일급)은 평균 8만8천503원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매출 30억원 이상, 종사자 10명 이상인 중소제조 기업 1천2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 하반기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 조사'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조사대상 업체의 생산직 종사자(118개 직종)의 하반기 평균 일급은 상반기(8만7천177원)보다 1.5% 증가한 8만8천503원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13.4%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안철수 野 혁신위원장 "제가 메스 들겠다, 국힘 사망 직전 코마 상태"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