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잘 나가던 수출 삐끗…작년 11월 경상 흑자 7개월 만에 최소

반도체 단가·교역량 둔화 탓…상품수지 흑자도 9개월 만에 최소
"반도체 경기 부진 일시적 요인 아닌듯…미중 무역분쟁 영향"

경상수지 흑자가 81개월 연속 이어졌지만 규모는 7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축소됐다.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단가 상승세가 주춤하고 세계 교역량이 둔화한 영향이 국제수지에도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18년 11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50억6천만달러였다.

경상수지 흑자는 2012년 3월부터 지금껏 이어지며 사상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그러나 흑자 규모는 지난해 4월(17억7천만달러) 이후 최소치로 쪼그라들었다.

그동안 경상수지 흑자 확대를 이끌어온 상품수지가 주춤했다.

상품수지는 79억7천만달러 흑자로, 역시 작년 2월(59억3천만달러 흑자) 이후 최소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수출이 1년 전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친 여파다.

한은에 따르면 반도체, 석유제품 등 주력 품목 단가 상승이 둔화했고 미중 무역분쟁이 현실화하면서 세계 교역량이 둔화했다.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어닝 쇼크(실적 충격)'로 재차 불거진 반도체 경기 논란에는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작년 11월에 둔화하고 12월에는 마이너스로 전환됐기 때문에 반도체 경기 부진은 일시적으로 보기 힘든 부분이 있다"면서 "미중 무역분쟁으로 중국 내수가 부진해진 영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원유 도입 단가가 오르며 수입은 9.3%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9천만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 규모는 전년 동월(-32억7천만달러) 대비 축소했다.

서비스수지 품목별로 보면 여행수지는 12억7천만달러 적자를 기록, 1년 전 같은 달(-15억5천만달러)보다 적자 규모를 줄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