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업 93% "경기 하강국면"…절반은 "경제정책 불만족"<현대硏>

대다수 기업 "최저임금 인상 부담"…현대硏 투자지수 역대 최저

기업 10곳 중 9곳은 경기가 하강 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올해 성장률이 2% 초반까지 내려가리라고 보는 곳도 절반에 달했다.

다만 기업 60∼70%는 올해 경영목표를 작년 보다 높게 잡았다고 답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기업 경영환경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지난달 10일부터 24일까지 국내 주요 110개 기업을 설문 조사했다.

조사 결과 기업 77.8%는 올해 경제가 작년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올해 성장률은 '2%대 초반'이라고 본 기업이 46.8%로 가장 많았다.

경기가 이미 하강국면에 진입했다는 분석에도 기업 72.7%가 '대체로 동의'한다고 답했다. '전적으로 동의'도 20.0%를 차지했다.

올 한 해 국내 경제의 가장 큰 불안 요인은 '주력 산업의 경쟁력 약화'(41.8%)가 꼽혔다.

정부의 지난 1년 경제정책 평가에선 '보통'이라는 기업이 46.3%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별로 만족 못 한다'(41.7%), '매우 만족 못 한다'(8.3%) 등 응답 기업 50%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부가 잘하는 정책 분야로 59.8%는 '남북 정책'을 꼽았으나 2위는 '잘하는 분야가 없다'(16.4%)로 나타났다.

못하는 정책 분야에선 '규제 정책'(23.5%)과 '일자리 정책'(22.2%)이 비슷하게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응답 기업의 89.8%는 최저임금 인상이 경영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은 올해 기업들의 경영변수에서도 가장 많은 35.2%의 선택을 받았다. 이 분야에선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의 기승'(25.9%), '미국 및 국내 금리 인상'(19.4%)도 제쳤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