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해 1월 기업 체감경기 2년 10개월 만에 가장 악화돼

기업 체감경기가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 전망은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9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에 따르면 이달 전체산업의 업황 BSI는 69로 전달보다 3포인트(p) 하락했다. 이는 2016년 3월(68) 이후 최저다. 업황 BSI는 기업이 인식하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100보다 낮으면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업황 BSI가 67로 4p 하락했다. 업종 가운데 반도체 수요 감소 영향으로 전자·영상·통신장비(70)가 8p 내려갔다. 기타 기계·장비(63)도 5p 낮아졌다. 건설·자동차산업의 부진으로 고무·플라스틱(55)은 13p 하락했다.

제조업체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업황 BSI는 73으로 한 달 전과 같았지만 중소기업은 69에서 61로 내려갔다. 형태별로는 수출기업(71)과 내수기업(65)이 4p씩 하락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71로 2p 떨어졌다. 이는 2016년 7월(70)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비수기를 맞아 광고 제작과 방송 매출이 줄면서 정보통신(73) 업황 BSI가 8p 하락했다. 또 건설경기 부진으로 설계·감리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전문·과학·기술(75)도 10p 내려갔다.

다음달 전체 산업 업황 전망지수는 2016년 3월(67) 이후 최저치인 68을 기록했다. 전달보다 3p 떨어졌다. 특히 제조업 업황 전망 BSI(65)는 6p 하락하며 2009년 4월(59) 이후 최저 수준을 보였다. 전자·영상·통신(65) 전망이 14p 악화되는 등 반도체 경기가 둔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국제 유가 반등 영향으로 석유정제·코크스(72)는 9p 올랐다.

기업들은 경영 애로 사항으로 제조업체(24.1%)·비제조업체(19.0%) 모두 '내수 부진'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은행은 "전자 분야 경기가 악화돼 중소기업과 수출기업 업황이 나빠졌다"며 "대기업 위주인 화학 분야 업황이 좋아지면서 대기업 업황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