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당직 인선을 시작으로 조직 정비에 닻을 올리자, 공석인 대구지역의 3곳 당원협의회를 누가 맡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당 대구 당협 중 북을은 홍준표 전 대표가 지난해 지방선거 직후 물러난 뒤 지금까지 공석이고 중남구와 동갑은 지난해 12월 조직강화특별위원회가 당무감사 등을 통해 현역의원의 당협위원장직을 박탈한 후 후임자 선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들 당협의 위원장을 누가 맡느냐는 새롭게 출범한 황교안 대표체제의 당 운영 및 내년 총선의 공천 방향을 가늠할 잣대가 될 수 있어 지역 당원들뿐만 아니라 대구 정치권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4일 단행된 황교안 대표의 첫 당직 인선이 친박 체계 강화에 방점이 찍힘에 따라 지역 정가에서는 중남구와 동갑 두 당협 경우 친박계인 곽상도, 정종섭 두 현역의원의 복귀를 점친다.
정 의원은 중앙연수원장에 임명돼 황교안 체제 1기 '당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곽 의원 역시 황 대표가 구상하고 있는 '신적폐 TF' 등의 주요 임무를 맡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와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김병준 비대위에서 '쫓겨난' 두 의원의 당협위원장 복귀 전망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지만 이 경우 적잖은 '후폭풍'도 예상된다.
뚜렷한 명분 없이 복귀할 경우 당협위원장 후보군 및 당원들로부터 반발을 살 수 있다. 동갑은 비대위에서 공개오디션을 거쳐 류성걸 전 의원을 새 조직위원장으로 선출했지만, 대구시당이 류 전 의원의 입당을 불허하면서 임명이 무산됐고 이에 류 전 의원이 이의를 제기한 상태다.
또한 황 대표가 직전 비대위의 결정을 불과 3개월 만에 뒤엎으며 친박을 전면 배치했다는 당 안팎의 비판에 휩싸일 수 있다. 첫 당직 인선에 "당내 화합을 위협했다"는 분석이 더 많으며 당 분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비대위 공모에서 적격자를 찾지 못한 북을은 한국당 입장에서는 내년 총선에서 '되찾아와야 할 곳'으로 지역 장악력 등 경쟁력을 갖춘 당협위원장 물색을 위해 당에서도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는 지역구다.
이런 이유로 이들 당협의 위원장 선임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당 관계자는 "당협은 당 지지의 근간, 뿌리나 다름없고 특히 대구는 여러 상징적인 의미가 있어 섣불리 결정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4·3 재보궐선거 이후 전국 사고 당협 정비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