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국가산업5단지에서 조선 중기 문인이자 학자인 두곡 고응척(1531~1605) 선생 미라가 발견됐다.
10일 서라벌문화재연구원 등에 따르면 미라는 지난 1월 구미국가산업5단지 인근 구미시 해평면 금산리 안동 고씨 선영에서 묘를 이장하던 중 발굴됐다.
미라가 안치됐던 회곽 안 목관에서는 의복(4건)과 솜이불, 베개, 버선, 토시 등이 나왔다.
한지에 쓴 고유문 위 장에는 우복 정경세 선생(1563~1633)이 쓴 글도 함께 발견돼 관심을 끌고 있다.
회곽묘는 석회·세사·황토로 회곽을 만들고 그 안에 목관을 안치하는 전통적 유교 방식으로 임진왜란 직후 조선시대 성종 이후 도입한 양식으로 사대부와 같은 높은 계층의 무덤이었다.
서라벌문화재연구원 측은 "미라 수습 후 서울대 의과대학이 시신의 옷과 부장품을 벗겨내는 해포 작업을 해왔다"며 "목관 위 명정을 확인한 결과 미라가 고응척 선생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임진왜란 이후 복식사 등 학술 연구를 위해 후손 동의를 얻어 CT 촬영과 유전자 분석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조사단 측은 이번에 수습한 복식은 17세기 전반기인 임진왜란 이후 것으로 복식사에서 학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곡 고응척은 1549년 19세에 사마시에 합격한 뒤 1561년 31세에 문과에 급제해 함흥교수로 부임했다. 이후 사직해 고향(경북 선산)에서 학문에 전념하다가 회덕현감, 경주부윤 등을 지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