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곳곳 독립의 횃불…안동·영덕 시민들 거리행진

9일 안동시청에서 열린 독립의 횃불 릴레이 행사에서 학생들이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고 있다. 김영진 기자
9일 안동시청에서 열린 독립의 횃불 릴레이 행사에서 학생들이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외치고 있다. 김영진 기자

만세운동 100주년을 맞아 주말 동안 경북 곳곳에서 '독립의 횃불 릴레이'가 펼쳐졌다.

독립의 횃불 릴레이는 100년 전 독립의 염원을 담아 지난 3월 1일 서울 광화문 광장을 시작해 임시정부 수립일인 4월 11일까지 전국 22개 지역을 돌며 그날의 열기를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9일 안동시청에서는 9번째 릴레이가 추진됐다. 안동시청은 전국 최초의 항일 의병인 갑오의병이 일어난 옛 안동향교터로 우리나라 독립운동사의 발상지와도 같은 곳이다.

손병선 광복회 안동시지부장과 학생이 대구에서 온 횃불을 맞이해 점화대로 이동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손병선 광복회 안동시지부장과 학생이 대구에서 온 횃불을 맞이해 점화대로 이동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이날 행사는 대구에서 전달된 독립의 횃불을 손병선 광복회 안동시지부장이 맞으면서 시작됐다.

권영세 안동시장과 정훈선 안동시의회 의장, 김상출 경북북부보훈지청장, 김광림 국회의원 등 지역 기관단체장들이 독립의 횃불을 점화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권영세 안동시장과 정훈선 안동시의회 의장, 김상출 경북북부보훈지청장, 김광림 국회의원 등 지역 기관단체장들이 독립의 횃불을 점화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기념사에서 권영세 안동시장은 "선조들이 뿌려 놓은 정신적인 소산은 우리 안동을 독립운동의 발상지이자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충절의 고장이라 일컫는 계기가 됐다"며 "이번 행사를 계기로 100년 전 독립의 염원을 담아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가치를 계승하고, 우리 민족의 자긍심을 드높이는 새로운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념공연이 끝나고 국가보훈처에서 주관하는 본격적인 전국 독립의 횃불 릴레이가 진행됐다.

지역 기관·단체장과 독립유공자 유족 등을 선두로 봉송자 100여 명은 안동시청에서 임청각까지 독립의 횃불을 봉송했다.

독립의 횃불 9번째 안동 릴레이 현장에서 차전놀이 시연팀이 횃불을 봉송하고 있다. 안동시 제공
독립의 횃불 9번째 안동 릴레이 현장에서 차전놀이 시연팀이 횃불을 봉송하고 있다. 안동시 제공

봉송에는 차전놀이도 함께해 이색적인 장면을 연출했다. 차전놀이는 일제의 억압으로 중단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데 외부의 억압에도 굴하지 않고 우리의 것을 지켜내고야 마는 안동사람의 정신이 그대로 독립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10일 영덕군 영해면 3·18만세의거탑 로터리에서 만세운동 플레시몹이 펼쳐지고 있다. 영덕군 제공
10일 영덕군 영해면 3·18만세의거탑 로터리에서 만세운동 플레시몹이 펼쳐지고 있다. 영덕군 제공

안동에 이어 만세운동 100주년 독립의 횃불 릴레이가 10일 영덕에서 10번째로 이어졌다. 영덕 '영해 3·18만세 운동'은 2천여 명이 참가한 동해안 최대규모의 만세 운동이다.

참석자들은 3·18만세운동기념탑 로터리 광장에서 영해지방 항일운동을 담은 거리굿, 독립만세 플래시몹을 펼쳤다.

이희진 영덕군수는 "영덕은 시·군 통합 전 군 단위 중에서는 가장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한 것만 봐도 3·18 만세운동의 규모를 알 수 있다. 100주년을 맞은 3·18독립운동을 계기로 영덕의 자부심을 더욱 높이게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