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이 항상 가까이 계셔서 언제든 모르는 말을 여쭤볼 수 있어요."
지난 13일, 대구 북동초에서 만난 김루슬란(8) 군은 수줍은 모습을 보이면서도 한국어 학급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또박또박 대답했다. 또래 친구들은 물론 성인과 대화하기에도 큰 무리가 없을 정도였다.
김 군은 2년 전 러시아 출신의 부모와 함께 한국에 왔다. 처음에는 한국어에 서툴러 수업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던 중 유치원~초등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찾아가는 한국어교실' 수업을 통해 1대 1로 한국어교육을 받게됐다.
김 군은 "선생님이 많이 도와주셔서 한국어를 말하는 데 재미도 생기고 더 많은 말을 배우려 노력하고 있다"면서 "아직 수학과 도덕 과목은 조금 어렵다"며 웃어보였다.
북동초에는 110여명의 다문화 학생이 있으며, 이 중 50여명이 한국어 학급 3개반에 속해있다.
이 중 '어울림반'에서 김 군을 가르치는 이태윤 교사는 "맞벌이, 한부모 가정이 많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교에서 최대한 많은 시간을 보내며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과목을 보충 공부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년째 아이들을 맡아 가르치고 있는데, 국어 과목보다 오히려 사회 과목을 더 어려워한다. 비교·대조 등 실생활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단어들이 등장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다문화학생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은 일상생활은 물론 친구와의 사회적 관계 형성, 학업 등 학교생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아이들이 학교,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