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주담대) 변동금리가 오르면서 고정금리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금리 변동으로 인해 변동금리 대출자를 위한 월 상환액 고정 신상품이 출시된다. 전문가들은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는 수수료 등을 고려해 고정금리로의 전환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주요 은행의 잔액 기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8일부터 0.01%포인트(p) 오른다. 이는 은행연합회가 15일 공시한 2월 잔액 기준 코픽스가 0.01%p 상승했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통상 코픽스에 각자 가산금리(리스크와 비용 등)를 더해 주담대 변동금리를 산정한다.
국민은행의 잔액 기준 코픽스 연동 변동금리는 15일 3.38~4.88%에서 18일 3.39~4.89%로 오른다. 신한은행은 3.31∼4.66%에서 3.32∼4.67%로, 우리은행은 3.41∼4.41%에서 3.42∼4.42%로 변동금리가 상향 조정된다.
이에 따라 주담대 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역전 폭이 더 커졌다. 지난해 말 상승한 시중금리가 최근 조정을 받으면서 고정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금리가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확률이 낮아진 점도 고정금리를 끌어내리는 원인이다.
국민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는 18일 기준 2.80~4.30%로 전주보다 0.03%p 내린다. 신한은행은 3.10∼4.21%에서 3.08∼4.19%로, 우리은행은 3.05∼4.05%에서 3.03∼4.03%로 각각 0.02%p 내려간다.
변동금리 상승과 관련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는 18일 향후 10년간 금리가 올라도 월 상환액이 고정되는 주담대 신상품을 출시한다. 저금리 시기 변동금리 대출자의 금리 상승기 상환 부담 확대를 막자는 취지다.
새 상품은 금리 상승으로 이자 상환액이 증가할 경우 원금상환액을 줄여 월 상환액을 그대로 유지하고, 잔여 원금은 만기에 정산하는 방식이다. 월 상환액 고정기간은 10년이고, 고정기간이 지나면 변동금리로 전환하거나 월 상환액을 재산정한다. 고정기간에 금리 변동 폭은 2%포인트로 제한된다.
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에는 고정금리가 유리하지만 기존 변동금리 대출자는 중도상환수수료, 남은 상환기간 등을 계산해 변경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