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일자리사업 221개에 1조5천억 투입

지역 고용률 65%가 목표…대부분 단기 일자리 양산 급급 지적도

대구시가 올해 취업자 수 114만3천명, 고용률 65.1% 달성을 목표로 대대적인 고용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 시는 지역 사회간접자본(SOC)을 포함한 총 221개 사업에 국비 포함 사업비 1조5천억원을 투입,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그러나 경기 둔화, 소비 부진 등 구조적인 어려움에 비해 일자리 창출 대책은 '단기 처방'에 급급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시는 27일 지역 내 18개 고용 관련 기관·단체와 노동계 및 청년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19년 고용목표 달성을 위한 대책회의'를 시청에서 연다. 일자리 대책회의는 민선 7기 출범 이후 처음이다.

이번 회의는 올해 고용률 하락이 심상찮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017년 65.0%를 기록했던 대구 고용률은 지난해 64.2%로 하락했고, 올해도 2월 현재 63.4%로 내리막을 걷고 있다. 더욱이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산업이 완성차업체 판매량 감소 등으로 부진이 예상되고, 소비 부진으로 서비스업종도 동반 침체에 빠지는 등 대구 경제성장률은 1.7%에 머물 전망이다.

시는 올해 고용률을 2017년 수준인 65.0%까지 끌어올리는데 힘을 쏟기로 했다. 221개 사업에 사업비 1조5천억원을 투입, 민간부문 4만2천개와 공공부문 5만8천개 등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구형 청년 일자리사업'을 본격화하고, 지역 자동차부품업계 활력 제고 방안을 찾기로 했다. 최저임금 상승으로 고전하는 소상공인에겐 금융 지원과 경영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그러나 시의 대책이 일자리 질 측면에서 미흡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2천703억원이 들어가는 '대구형 청년보장제'나 76개 사업에 3천738억원을 쏟아붓는 '일자리 안전망 구축' 사업이 대부분 1년 미만의 단기 일자리에 그치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