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통합신공항에 하루빨리 날개 달아줘야

대구시와 국방부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사업비를 8조원대로 추정하는 실무 협의를 마무리했다. 개략적인 사업비를 먼저 산정하고 최종 이전 후보지 선정 이후 정확한 사업비를 다시 산정하기로 했으니 큰 진전이다. 그동안 '사업비 증액'을 요구하며 요지부동이던 국방부의 미세한 태도 변화가 한몫했다. 비록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권영진 대구시장의 최종 조율 과정을 거쳐야 한다지만 연내 통합신공항 최종 이전 후보지 선정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게 됐다.

그동안 국방부의 통합신공항 건설 의지는 의심스러웠다. 지난해 3월 '군위 우보'와 '의성 비안군위 소보' 등 2곳의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한 후 1년이 넘도록 한 발짝도 움직이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방부는 당초 2016년 자체 용역조사 결과를 근거로 '군위 우보' 6조3천500억원, '의성 비안·군위 소보' 6조3천300억원의 사업비를 예상하고서도 이후 9조원대로 사업비 증액을 요구했다. 대구시는 7조3천억원대를 제시했지만 국방부는 협상의 여지가 없는 것처럼 강하게 나왔다. 국방부의 태도 변화는 이유가 무엇이건 반길 일이다.

하지만 대구시 부담이 커진 것은 경계할 일이다. 아직 추정치긴 하나 2016년 국방부가 제시했던 이전 사업비보다 1조7천억원 안팎이 증가했다. 통합공항 이전은 군 공항 이전 특별법에 따라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이뤄진다. 현 K2 부지를 팔아 군 공항을 옮기는 방식이어서 일방적인 국가 재정사업이 아니다. 사업비 부담이 늘면 땅을 비싸게 팔거나, 공공시설 용지를 줄여야 한다. 현 공항이 떠난 자리가 자칫 거대한 아파트촌으로 전락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숙제를 떠안긴 했지만 대구시로서는 통합신공항을 관철하는 것이 과제다. 이를 통해 현재는 물론 미래 세대가 누리게 될 경제 효과가 작지 않다. 국방부 의뢰를 받은 한국교통연구원은 대구공항 통합이전에 따라 12조9천억원의 생산 유발, 5조5천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12만 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굳이 계량화하지 않아도 반듯한 공항이 없어 대구경북민들이 겪는 불편이 적지 않다. 국방부와 대구시는 하루빨리 통합신공항에 날개를 달아줘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