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칼럼] 잇몸 뼈 부족? 임플란트 선택 전 알아둘 사항은

김선영 대표원장
김선영 대표원장

환자 수용부의 상태란 임플란트를 식립할 잇몸뼈의 상태를 말한다. 골유착은 말 그대로 임플란트가 뼈와 반응하는 현상이므로 뼈의 상태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잇몸뼈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아무리 좋고 비싼 식립체를 사용한다고 해도 골유착은 실패할 수 있다는 의미다.

평소 구강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여 치주질환이나 기타 사유에 대한 치조골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수용부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는 것은 환자의 선택이라고 보기엔 어렵다.

치조골의 손실이 치아 탈락에 대한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손실된 치조골은 관리를 통해 자연 회복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수술 방법이라는 조건은 임플란트의 식립 방향, 위치, 깊이 등 의료진의 노하우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확한 식립을 위해 충분한 잇몸뼈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경험과 노하우가 없으면 좋은 재료의 선택은 무의미하다.

또한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식립도 포함되지만 환자의 협조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회복기간 중 식립체가 동요될 정도의 힘이 가해지면 골유착에 실패할 가능성이 크므로 병원에서 설명하는 수술 후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키는 환자의 의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리하자면, 임플란트 식립체는 국내의 기술력도 문제가 없을 만큼 성장하였고, 시술자의 노하우와 환자의 협조가 임플란트의 성공여부를 결정짖는다고 할 수 있겠다.

비싸고 좋은 재료를 사용해도 시술자의 노하우가 부족하면 임플란트의 실패 가능성이 생기기 마련이니 환자의 잇몸뼈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그에 적합한 재료를 선택, 명확한 수술계획을 수립하여 차질 없이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심각한 치주질환에 의해 치조골이 많이 손상된 환자의 경우는 치조골을 정상에 가깝게 재건한 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만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다만, 골형성을 통해 치조골을 재건하는 기간이 추가되므로 전체 치료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환자의 치료 협조도 더욱 중요해진다.

얼마나 저렴하게 치료하는 곳인지를 판단하기보다 얼마나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지를 우선시하는 현명함이 필요하다. 원하는 치과의 홈페이지 등에서 실제 치료한 전후 사진들을 꼼꼼히 살펴보거나 사전에 임플란트에 대한 유의사항을 철저히 점검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수플란트 치과병원 김선영 대표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