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등 국내외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분위기가 약화되면서 가계대출 금리도 내림세가 지속하고 있다.
3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2월 예금은행 가계대출 중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금리 연 3% 미만 비중이 23.5%를 차지했다. 이는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 전달인 2017년 10월(24.4%)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리 3% 미만 가계대출 비중은 한은이 두 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한 지난해 11월(10.9%) 이후 크게 확대됐다. 이어 같은 해 12월은 17.1%, 올 1월에는 21.1%였다.
이는 국내·외 금리 인상에 대해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가계대출 금리가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은행채 AAA등급 5년물 금리(민간채권평가사 평균 기준)는 지난해 11월 말 연 2.180%에서 다음 달 2.089%로 내렸고, 올해 들어 내림세를 이어가며 3월 말에는 1.883%까지 떨어졌다.
2월 현재 연 3%대인 가계대출 비중은 60.6%로 가장 컸지만, 지난해 10월(72.4%)보다는 낮아졌다. 연 4%대 가계대출 비중도 지난해 말 15%에서 두 달 만에 11%로 줄었다.
2월 가계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전월보다 0.08%포인트(p) 떨어져 연 3.50%였고, 이는 2017년 9월(3.41%) 이후 최저다. 금리 하락 폭은 한은이 마지막 금리 인하를 한 다음 달인 2016년 7월(-1.0%p) 이후 가장 크다.
이 같은 금리 하락세에 2월 예금은행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2조5천억원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도 2조4천억원으로 1월(2조7천억원)보다는 적었지만, 1년 전(1조8천억원)보다는 많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