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구한말 한반도 경제 침탈의 선봉에 섰던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1840-1931년)의 초상을 새 1만엔(약 10만원)권 지폐에 넣으려 해 논란이 예상된다.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9일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지폐 도안 전면 쇄신계획을 발표했다.
사업가인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제1 국립은행, 도쿄가스 등 500여개 회사 경영에 관여해 일본에서 추앙받는 인물이다. 하지만 구한말 화폐를 발행하고 철도를 부설하는 등 한반도에 대한 경제 침탈에 전면적으로 나섰다.
그는 특히 한반도의 첫 근대적 지폐에 등장해 한국에 치욕을 안겨주기도 했다. 구한말 대한제국에서는 자주적 화폐 조례를 발표했으나 일본 제일은행은 무력 시위를 통해 제일은행 화폐 발행을 요구한 뒤 1902~1904년 지폐 1원, 5원, 10원권을 발행했다. 이 세 종류 지폐에 그려진 인물이 바로 당시 제일은행의 소유자였던 시부사와 에이이치였다.
일본 정부가 새 1만엔권 지폐에 한반도 침략의 상징인 그의 초상을 넣으려는 것에는 과거사를 부정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역사 인식을 보여준다. 일제 식민지배의 피해국인 한국에 대한 배려가 결여된 것이라는 비판이 한국뿐 아니라 일본 내에서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재무성은 새 지폐를 5년 후 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고 고액권인 1만원권 외에 5천엔(약 5만원)권에는 메이지 시기 여성 교육 개척자인 쓰다 우메코(津田梅子·1864~1929년), 1천엔(약 1만원)권에는 일본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기타사토 시바사부로(北里 柴三郞·1853~1931년)의 얼굴을 실으려 하고 있다. 김지석 선임기자·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