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네번째 남북정상회담 열리나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청와대에서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식 후 접견실로 이동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원인철 공군참모총장, 문 대통령, 서욱 육군참모총장.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청와대에서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식 후 접견실로 이동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원인철 공군참모총장, 문 대통령, 서욱 육군참모총장.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북한의 여건이 되는대로 장소·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남북이 마주 앉아 2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을 넘어서는 진전될 결실을 볼 방안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질적 논의를 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힘에 따라 문재인 정부 출범 후 네번째 남북정상회담이 곧 성사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은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을 계기로 남북정상회담 개최가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남북관계가 교착국면을 맞고 있는 상황에서 4·27선언 1주년이 일단 회담 개시의 빌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도 이때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아 북한에 특사를 보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오는 27일까지 시일이 얼마 남지 않아 북한에 특사를 보내고 준비 기간을 거쳐 다음달에 들어가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음달에 열린다면 지난해 5월 26일 판문점 북측 지역에서 두 번째로 열린 남북정상회담 1주년에 즈음해 남북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그러나 북한이 우리 측의 회담 제의에 반응할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적지 않다. 미국이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 '일괄타결식' 비핵화 방안을 고수하고 있어 북한의 반발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우리 측도 북한을 설득할 카드가 많지 않다.

특히 북한은 이번 최고인민회의 직전에 개최한 노동당 제7기 4차 전원회의에서 '자력갱생'을 강조하면서 남측은 물론, 미국에 대해서도 고자세를 유지하고 있어 남북회담 성사까지는 험로가 예상되고 있다.

변수는 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몇가지 방안'에 대해 합의를 이뤘지 않느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15일 "트럼프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 필요성에 공감과 기대를 표명했고 김 위원장이 결단하면 남북미 3자 정상회담도 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고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어떤 메시지'를 받았고 남북정상회담장은 물론, 남북미 정상회담장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읽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